본문 바로가기

송강 정철을 찾아서

(89)
담양 소쇄원 5 담양 소쇄원 5 김세곤 한편 나는 이 제월당 마루 위에 같이 붙어 있는 하서와 송강의 소쇄원시를 감상하면서 송강과 하서와의 관계에 대하여 생각한다. <국역 송강집>의 송강의 연보에 의하면 송강은 하서 김인후와 고봉기대승에게 공부를 배운 것으로 적혀 있다. 이즈음 송강은 스스로 배워야할 ..
담양 소쇄원4 제3절 제월당 마루에서 그리고 보니 내가 제월당 방안에서 너무 오랫동안 도연명과 주돈이 이야기에 빠져있었다. 이제 나는 마루로 발길을 옮긴다. 제월당은 마루가 두 쪽이다. 방 바로 옆 마루 위에는 제월당 霽月堂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이 글씨도 역시 우암 송시열이 쓴 글씨이다. 또한 면앙정 ..
담양 소쇄원에서 3 담양 소쇄원에서 3 김세곤 노동부 법무행정팀장 이렇게 귀거래를 한 도연명은 농사 일을 하고 평소 좋아하던 술을 주로 혼자 마시고 책 읽기를 즐기면서 스스로를 오류선생이라고 칭하였다. 스스로 농사 일을 한 시가 <귀원전거歸園田居 5수>이고, 술을 즐겨 마시면서 지은 시가 <음주 飮酒 20수&..
담양 소쇄원에서 2. 소쇄원에서 2 이런 하서는 소쇄원이 어느 정도 완성된 1548년(그의 낙향 후 3년 되는 해)에는 <소쇄원 48영> 시를 지어 소쇄원의 경치를 찬양한다. 이후로도 그는 틈이 날 때는 이곳에서 몇 달씩 머무를 정도로 소쇄원을 좋아하였다 한다. 하서 김인후의 <소쇄원 48영>중 초정에 대한 시는 제1영으..
담양 소쇄원에서 소쇄원에서 양산보, 김인후 그리고 정철의 흔적 식영정에서 소쇄원 주차장 까지는 1Km 정도이다. 소쇄원으로 가는 길 양옆에는 목백일홍이 활짝 피어 있다. 진한 분홍색 꽃이 길에 피어 있으니 송강이 살던 시절로 돌아간 느낌이다. 소쇄원 주차장에 내리니 바로 소쇄원 안내판과 성산 등산로 안내판이..
소쇄원 제월당 담양 소쇄원 제월당입니다. 방에는 거래래사 글이 적혀 있고, 마루위에는 각종 편액이 붙어 있습니다.
송강의 스승 하서 김인후 송강 정철의 스승 하서 김인후(1510-1560)에 대하여 알아본다. 먼저 조선왕조 실록에 적혀 있는 김인후의 인물평을 보자. 조선왕조 실록 명종 15년 1560년 1월 전 홍문관 교리 김인후(金麟厚)가 졸(卒)하였다. 자(字)는 후지(厚之)요, 자호(自號)를 하서(河西)라고 했으며 담재(湛齋)라고도 했는데 장성(長城) ..
담양의 송강 문학터 전남 담양의 송강문학 터 입니다. 식영정 환벽당 소쇄원 송강정 등등 사진으로 운치를 느끼세요. 더운 여름도 이제 갑니다. 모두들 건강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