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자와 장자 읽기

쓸모있음과 쓸모없음 - 장자

 

장자가 산길을 가다가

가지와 숲이 무성한 큰 나무를 보았다.

벌목꾼도 그 옆에 있었지만 베지 않았다

그 까닭을 물으니 쓸모가 없기 때문이라 했다.

장자가 말했다.

“ 이 나무는 재목이 못 되어 천수를 누릴 수 있구나”


한편 장자는 산에서 나와 친구의 집에서 묶게 되었다.

친구는 반가워 더벅머리 종에게 거위를 잡아 삶으라고 하였다.

종이 물었다.

“ 한 몸은 울고 한 몸은 울지 못하는 데 어느 놈을 잡을 까요?”

주인이 대답하였다. “ 울지 못하는 놈을 잡아라.”

 

 이튿날 제자가 장자에게 물었다.

“어제는 산속의 나무가 재주가 없었기에

 천수를 다 할 수 있었다고 말했으나

 오늘은 주인집 거위가 재주가 없었기에

 손님 음식상에 올려져 죽었습니다.

 선생님은 도대체 어떻게 처신하라는 것입니까?“

 

   장자는 웃으며 말했다.

  “ 나는 재주있는 것과 없는 것 중간에 처신할까?

    재주있는 것과 없는 것 사이란 그럴듯한 말이지만

    사실은 그릇된 말이어서 허물을 면할 수 없는 것이다.

    만약 자연의 도와 무위의 덕을 타고 노닌다면

    그렇지 않다.

    명예도 없고 비난도 없으며

    한번은 용이 되고 한번은 뱀이 되어

    때와 함께 조화할 뿐 마음대로 재단함을 좋아하지 않느다.

    한번 올라가면 한번 내려오며 조화를 도량으로 삼는다. 

    만물의 근원에서 노닐면

    사람은 저마다 사물을 위한 사물이 되지 않으니

    이것이 바로 황제와 신농씨의 법칙이다.

    

               < 장자 , 외편 산목 >

 

    *************

    장자의 글들은 주로 무용지용 (쓸모없는 것도 쓸모가 있다는)에 관한

    역설적인 이야기가 많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무용과 유용이

    모두 다루어져 있다.

    사실 유용한 재목이 세상에 유익하게  쓰임은  당연한 것이다.

    그런데  무용한 재목도 때로는 쓸모가 있다. 사무실에서 일은 능력이

   좀 떨어져도  주위 정보파악에는 재주가 있는 사람이 있는 데

   그 사람을 일의 성과만으로 평가하여 쓸모 없다고  단언할 것은 아니다. 굼뱅이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는 속담이 있듯이 사람은 누구나 다 쓸모가 있고 어느 한부분은 잘한다. 그러니 일을  좀 못한다고 차별하고, 서럽게 하지 말라는 2400년 전에 산 장자의 준엄한 경고를  적어도 직장의 지도자라면  잘 새길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