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에 대한 시

꽃 - 김춘수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는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현대문학} 9호, 1955.9)

 



한국시사에서 꽃을 제재로 한 시는 이별의 정한을 노래하기 위한 소재로 꽃을 파악한 것이 거나, 심미적 대상으로서 꽃을 다룬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존재론적 차원에 서 '꽃'을 다루고 있어, 그만큼 심도가 깊다. 여기서 꽃은 하나의 구체적인 실재하는 대상이 라기보다는 시인의 관념을 대변하는 추상적 존재라 할 수 있다.
존재 탐구의 시인 김춘수의 면모를 여실히 드러낸 이 시는 서정성이 일체 배제된 관념적이 고 주지적인 작품이다. 처음엔 무의미의 관계였던 '나'와 '그(너)'가 '이름을 불러 주는' 상호 인식의 과정을 통해, 서로는 서로에게 '꽃'이라는 아름답고 소중한 존재로 변모하게 되고, 마 침내는 영원히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 있는 존재인 '꽃'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 다. 따라서 '명명(命名)' 행위는 사물의 본질을 포착하고, 그것을 실재적인 형상으로 표현해 내는 작업을 뜻하게 된다. 이것은 언어를 '존재의 집'으로 파악한 하이데거의 명제와 비슷한 시적 발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존재를 조명하고 그 정체를 밝히려는 이 시는 주체와 객체[대상]가 주종(主從) 관계가 아닌, 상호 주체적 '만남'의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모든 존재는 익명(匿名)의 상태에서는 고독하고 불안하다. 그러므로 이름이 불려지지 않은 상태[존재를 인식하기 전]에서는 자신의 본질을 드러내고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는 아무에게서나 자신의 이름이 불려지기를 원 하는 것이다. 명명(命名)이라는 과정이 있기 전까지는 참다운 의미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닌, 부재(不在)의 존재였던 '꽃'이 이름을 불러 주는 나와 관계를 맺음으로써 비로소 존재의 양 태를 지니게 되며, 반대로 내 존재도 누가 나의 이름을 명명할 때야만, 부재와 허무에서 벗 어나 그에게 가치 있는 존재가 된다는 것이다.

'꽃에 대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선화 -김동명  (0) 2006.12.15
꽃을 위한 서시 -김춘수  (0) 2006.12.15
진달래꽃  (0) 2006.12.15
선운사에서  (0) 2006.12.15
황진이와 허난설헌  (0) 2006.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