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백리 칼럼

(149)
여유당과 사의재, 김세곤 [김세곤칼럼] 여유당과 사의재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뉴스24 ㅣ 기사입력 2015/06/25 [18:05] ▲ © 뉴스24여유당 與猶堂과 사의재 四宜齋를 아시나요? 여유당은 경기도 남양주시 정약용(1762-1836) 생가에 있는 서실 이름이다. 사의재는 전남 강진군에서 1801년부터 1818년까지 18년간 유배살..
청렴사회만들기 카페에 회원은 단 한 명 청렴사회만들기 카페를 만들었다. 언론에 기고한 글을 여러 편 올렸다. 그런데 카페 회원은 단 한 명. 카페지기 나 혼자이다. 두가지 생각을 한다. 하나는 카페지기가 변변치 못하여 회원이 없구나 하는 자성이다. 둘은 청렴에 대하여 사람들이 그리 관심이 없구나 하는 점이다. 요즘 청렴..
<김세곤 역사스페셜>임술농민항쟁과 동학농민혁명 &lt;김세곤 역사스페셜&gt;임술농민항쟁과 동학농민혁명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임술농민항쟁1862년에 농민들 불만 한꺼번에 터져 나와 1821년에 다산 정약용(1762-1836)은 &lt;목민심서&gt; 자서(自序)에서 이렇게 적었다. “오늘 날 백성을 다스리는 자들은 오직 거두어들이는 데만 급급하..
<논어>에 나오는 청렴 · 공직 관련 어록 3가지 &lt;논어&gt;에 나오는 청렴 · 공직 관련 어록 3가지 1. 수기안민 &lt;논어&gt; ‘헌문’편 (14:44) 자로가 군자에 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기 수양을 하여 몸가짐을 경건히 하는 것이다” “그렇게만 하면 됩니까?” “몸을 닦고 주위 사람들을 평안하게 해주어야 하느니라.” 자..
맹자 어록 , 선비의 일 (진심장 상 13), 김세곤 선비의 일 &lt;맹자 진심 장&gt; 상 13.33 제나라의 왕자 점이 물었다. “선비(士)는 어떤 일을 합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뜻을 숭상합니다.” 다시 점이 물었다. “뜻을 숭상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인의를 추구하는 것일 뿐입니다. 한 사람이라도 죄없..
<김세곤 역사스페셜> 청백리 기건, 愛民(애민)하다. 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 &lt;김세곤 역사스페셜&gt; 청백리 기건, 愛民(애민)하다.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작은 실천도 백성들에게 감동 줘 목민관이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愛民)’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작은 실천도 백성들에게 감동을 준다. 그런 선비가 세조 시절 청백리 기건(奇虔 ?-1460)이다. 호는 청파(..
<김세곤 역사스페셜> 청백리와 탐관오리 후손들 &lt;김세곤 역사스페셜&gt; 청백리와 탐관오리 후손들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현시대에도 비슷한 일면은 청백리 후손 더 가난, 탐관오리 후손 잘 살아 조선시대 청백리 제도를 살펴보면 청백리의 후손들은 특별 채용이 되었고, 탐관오리 후손들은 벼슬길이 막혔다. 그런데 현실은 어떠..
다산 정약용, 탐학한 아전을 고발하는 시 3편을 쓰다. 김세곤 다산 정약용, 탐학한 아전을 고발하는 시 3편을 쓰다.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사회현실 직시하고 시대 아파하고 세속 개탄해야 시!! 1801년 겨울에 강진으로 유배 온 정약용(1762 -1836)은 1808년 봄에 다산의 초당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런데 1809년과 1810년 두 해에 걸쳐 전라도 지역에 극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