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를 얻는 이는
옛날에 도를 얻는 이는
미묘하고 그윽히 통달하여
그 깊이를 알 수 없었다.
알 수 없지만 억지로 말해보자면
머뭇거림은 마치 살 언 겨울 강을 건너는 것 같고
신중함은 마치 사방에서 쳐들어오는 적을 경계하는 것 같으며 (사방의 이웃을 두려워하는 것 같다.)
엄숙함은 마치 손님이 된 듯하고
푸근함은 얼음이 녹은 듯하다.
질박하고 두텁기는 마치 다듬지 않은 통나무같고
흐릿하기는 마치 탁한 물과 같고
드넓기는 마치 골짜기와 같다
누가 능히 혼탁하게 섞여 있음으로서 천천히 밝게 할 수 있으며
누가 능히 가만히 놓아둠으로서 서서히 살아나게 할 수 있겠는가?
이런 도를 간직하고 있는 사람은 그득 채우려고 하지 않는다. 무릇 채워짐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을 가리고 완전히 이루지 않는다.
<노자 제 15장>
*************************
머뭇거림은 마치 살 언 겨울 강을 건너는 것 같고
신중함은 마치 사방에서 쳐들어오는 적을 경계하는 것 같으며
與呵其若冬涉水 猶呵其若畏四隣
여유당(與猶당 ), 경기도 남양주시의 다산 생가의 당호이다.
이 당호의 뜻이 바로 노자 15장의 여유에서 나왔다. 선비의 길, 지도자의 길은 바로 이 머뭇거림과 신중함에서 부터 시작한다. 영어로 말하면
디테일의 힘이다.
'노자와 장자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신은 죽지 않으니 -노자 제6장 (0) | 2008.06.23 |
---|---|
낮은 데로 임하기 -노자 제66장 (0) | 2008.06.23 |
장자 -그림자 �기 (0) | 2008.06.22 |
최고의 지도자란? -노자 17장 (0) | 2008.06.22 |
쓸모있음과 쓸모없음 - 장자 (0) | 2008.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