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백리 칼럼

(149)
김세곤 칼럼, 백비의 청백리 박수량 <김세곤칼럼>백비(白碑)의 청백리 박수량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조선 13대 임금 명종 청렴결백한 삶 기리기 위해 백비 하사 전남 장성군 황룡면 금호리에는 조선의 청백리 아곡 박수량(朴守良 1491-1554) 묘소가 있다. 묘 앞에는 이름도, 내용도 없이 글자 한 자도 새기지 않은 백비 ..
퇴계 이황의 공직관,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청백리 퇴계 이황의 공직관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 siminsori@siminsori.com 승인 2015.09.23 15:53:03 ▲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동방의 주자, 조선 성리학의 거두(巨頭) 퇴계 이황(1501-1570)을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1천 원짜리 지폐에 나오는 인물이다. 지폐 앞면에는 이황의 초상화가, 뒷면..
청렴 강의 , 장성군 백양관광호텔 , 부산광역시 인재개발원 공무원 연수생 184명 강사 김세곤
청백리 류성룡과 징비록 ,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청백리 류성룡과 <징비록>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이 청백리가 된 사연은 참으로 기구하다. 1601년 10월에 류성룡은 이원익과 함께 청백리로 뽑혔다. 영의정 이항복이 그를 추천하였는데 “이는 미오(郿塢)의 무고를 씻어 주기 위함이라”고 하였다. 미오는 중국 섬서성에 있는 지명..
장성군 평생교육센터 청렴 특강, 보성 경찰서 , 2015.9.10 , 강사 김세곤
류성룡과 징비록 (1)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김세곤 원장의 남도일보 칼럼 오치남 기자 | ocn@namdonews.com 승인 2015.09.09 18:31:55 류성룡과 징비록(1) 1598년 11월19일에 이순신(1545~1598)이 노량해전에서 전사하고 임진왜란 7년 전쟁이 끝났다. 우연의 일치일까? 이날 류성룡(1542~1607)이 파직당했다. 류성룡의 파직은 1598년 6월 명나라 병부 감찰..
삼마태수 송흠,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김세곤칼럼] 조선 유일 父子 청백리 삼마태수 지지당 송흠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뉴스24 ㅣ 기사입력 2015/09/01 [07:22] ▲ © 뉴스24전남 장성군 삼계면에 있는 관수정(觀水亭)을 찾았다. 관수정은 ‘맑은 물을 보고 나쁜 마음을 씻는다.’는 의미로 조선 중종시절 청백리 송흠(宋欽145..
견리사의 ,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견리사의 (見利思義)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 siminsori@siminsori.com 승인 2015.08.26 18:55:46 서울 남산 ‘안중근의사 기념관’앞에는 10M나 되는 석비가 하나 있다. 비의 앞면에는 ‘見利思義 見危授命’이라고 새겨져 있고, 옆면에는 ‘이익을 보거든 정의를 생각하고 위태함을 보거든 목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