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bal HR Forum 2006] 인재가 미래다 (1) .. 왜 다시 인재인가
관련기사
■ [Grobal HR Forum 2006] 인재가 미래다 (1) .. 글로벌 기업들은 '인재확보 전쟁'
■ [Grobal HR Forum 2006] 인재가 미래다 (1) .. 女 미개척 인적자원의 '寶庫'
■ [Grobal HR Forum 2006] 인재가 미래다 (1) .. 범생이ㆍ마당쇠를 창조적인 인재로
■ [Grobal HR Forum 2006] 인재가 미래다 (1) .. 인재포럼
■ [Grobal HR Forum 2006] 인재가 미래다 (1) .. "양극화 극복도 인재개발에 달렸다"
■ [Global HR Forum 2006] 한국을 글로벌 인력기지로
2차 세계대전 중인 1943년 가을.자존심이 강했던 윈스턴 처칠은 '제국'을 이끄는 영국 총리 자격으로 미국 하버드대 졸업식에 참석했다.
전쟁을 함께 치르던 미국의 최우수 젊은이들에게 그가 던진 메시지는 '인재론'이었다.
"미래의 제국은 인재의 제국이 될 것이며 미래의 국가들은 부존 자원이 아닌 인재를 놓고 치열한 전투를 벌일 것"이라고 예언했다.
역사는 처칠의 예언이 옳았음을 보여줬다.
미국은 세계 최고의 인재들을 배출하면서 세계 최강의 '제국'으로 부상했다.
기업의 역사에서도 '인재론'이 통하긴 마찬가지다.
영국의 식민지 수탈을 위해 1600년대에 세워진 동인도 회사마저도 지금의 입사시험과 유사한 형태의 시험을 치렀다.
시험을 통과해 동인도 회사의 직원이 된 사람들 중 존 스튜어트 밀 등 당대 영국의 석학들이 포함돼 있었다.
당시 입사 시험도 인재 변별능력이 결코 낮지 않았던 셈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인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점 커지고 있다.
1994년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좋은 인재 한 명이 10만명을 먹여살릴 수 있다'는 천재경영론을 제시한 이후 급속히 확산됐다.
삼성그룹 CEO들의 해외 출장 일정을 보면 반드시 박사급 인력의 채용 인터뷰가 포함돼 있다.
LG그룹도 눈에 불을 켜고 인재를 찾기는 마찬가지다.
김쌍수 LG전자 부회장은 최근 회사 고위 임원들에게 "해외출장 때마다 해외의 핵심인재를 면담하라"는 특명을 내렸을 정도다.
기업들이 내세우는 '인재경영'은 과거와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대량생산 시대에서 창의적인 인재는 소수로 족했다.
창업주와 극소수의 엘리트 임원들이 상품을 개발하고 생산 시스템을 갖춰놓으면 대다수의 직원들은 정해진 방침에 따라 열심히 일하기만 하면 됐다.
창의성보다는 근면성이 범용인재의 효용과 무용을 가르는 기준이 됐던 것.
제품의 변화 사이클이 짧아지고 소비자의 욕구도 다양해진 다품종 소량생산 시대로 접어들면서 상황은 달라진다.
과거 극소수 엘리트 임원들이 했을 수준의 복잡한 의사결정을 일개 팀의 팀장이나 더 나아가서는 조직 구성원 한 명이 내려야 한다.
끊임없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지 않으면 경쟁 기업에 뒤처진다.
백성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원은 "과거의 기업이 1000명의 직원 중 창의적인 인재가 5명이면 원활히 돌아갈 수 있었지만 지금은 300명,400명은 있어야 하는 구조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한국과 같이 '2등 전략'을 써온 국가들은 사정이 더 시급하다.
중국 인도 등 신흥 개발도상국들이 2등의 자리를 위협하고 있고 선진국과의 격차는 좁히지 못하는 '넛 크래커' 현상 때문이다.
김장호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현재의 산업구조를 유지하면서 노동이나 자본의 투입비율을 조정하는 것만으로는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기 힘들다"며 "선진국형 지식경제로 탈바꿈하는 것이 유일한 대안인데 이를 위해서는 인재 수급 시스템부터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세상이 경쟁이 치열해지고 살아남기가 힘든 세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인재는 키워야 합니다.
그러기 위하여는 교욱이 바로 서야 합니다.
'미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목민 (0) | 2006.10.31 |
---|---|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 (0) | 2006.10.28 |
세계는 평평하다 (0) | 2006.10.28 |
경쟁력의 원천은 인재개발 (0) | 2006.10.26 |
부의 미래 -앨빈 토플러 (0) | 2006.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