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충사, 충장사, 경렬사, 충민사
- 광주광역시 문화관광해설사 보수 교육
* 광주 지역 문화관광해설사에게 강의한 내용입니다. 광주의 문화관광 발전의 중추 역할은 문화관광해설사가 큰 몫을 차지 하고 있습니다. 이들에 대한 충분한 지원과 배려가 잘 되어야 광주의 문화 관광도 발전합니다. 투자를 많이 하여야 합니다. 인적 투자등 기초 인프라 없이 문화관광 산업 진흥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 강의를 하면서 이분들이 대단한 열정과 아시는 것이 많다는 것을 느낍니다. 문화관광 해설사 분들의 발전을 빕니다.
2010.3.4 목 18:30-21:30 문화관광해설사 66명
김세곤 (전남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 역사인물 기행 작가)
1. 첫째 시간
가. 지 知 <호 好 < 락 樂
나. 문화관광해설은?
* 맞춤 서비스. 수준별 해설하기 (초급, 중급, 고급)
* 스토리, 스토리텔링, 에피소드 중심으로 해설하기
* 해설의 3요소 : 알기 쉽고, 재미있게, 울림(감동)이 있게
다. 거시와 미시(넓게보기와 깊이파기 ;망원경과 현미경)
* 역사 공부는 기본
o 거시 : 한국사 개론, 조선사
o 미시 : 고려 말 왜구 침략(경렬사-정지 장군)임진왜란 (포충사 -고경명등 , 충장사 -김덕령, 경렬사-정충신), 정묘호란 (충민사-전상의)
라. 역사인물 탐구
(1) 족보 알기 - 인맥, 혼맥, 학맥 (2) 연보 보기 (3) 주변 인물 알기 (4) 업적 알기 (5) 문집 읽기 (5) 역사 유적 찾기 -신도비명, 묘정비등 읽기
* 시 지 인 時 地 人
* 인문학 공부 : 文 ․ 史 ․ 哲, 詩 ․ 書 ․ 畵
* 중국을 알면 더 많이, 더 깊게 보인다.
마. 정사 正史 와 야사 野史
o 야사가 정사보다 재미있다?
설화, 스토리 , 야사 책 (어우야담, 대동야승)
o 조선왕조실록 vs 연려실기술(이긍익- 원교 이광사의 아들)
* 고경명(포충사) 실록 : 명종23 선조 36 선조수정 15
연려실 기술 : 16권 고경명 ․ 유팽로
* 김덕령(충장사) 실록 : 선조71 선조수정 9
연려실기술 : 17권 김덕령
* 정충신 (경렬사) 실록: 선조 7 광해군일기 43 인조 142
연려실기술 25권 : 정묘년의 노란, 29권 : 인조조의 훈신
* 전상의(충민사) 실록: 인조 4회, 연려실기술 25권 정묘년의 노란
바. 주요 용어 알기.
(1) 호, 자, 시호 (2) 세독충정 (3) 종묘사직 (4) 불천위 (5) 신도비
* 한문 공부는 필수
사. 인터넷 사이트 접근하기
o 다음(daum)포털 사이트에서 (1) 문화유적 안내 찾아보기.
-포충사, 충장사, 경렬사, 충민사 (2) 역사 인물 찾아보기
-고경명, 김덕령, 정충신, 정지, 전상의
* 포충사등 유적지 안내 홈페이지가 있는가? (예: 칠백의총처럼)
2. 둘째 시간
가. 임진왜란(1592-1598, 1597-1598 정유재란)
조선과 일본과의 7년 전쟁 (명나라 참전)
o 전쟁 일지
- 1592.4.13 일본, 부산에 침략
- 4.15 동래성 함락 (송상현 전사)
- 4.27 충주전투 패배(신립 전사)
- 4.29 선조 - 한양을 떠남
- 5.3 일본군, 한양 입성
- 5.8 이순신 , 옥포 ․ 합포 해전 승리
- 6.22 선조, 의주로 피난
- 6.24 양대박 (고경명 휘하 부장), 임실 운암 전투에서 승리
- 7.8 -9 웅치, 이치 전투 (권율 황진 정충신 -이치 전투에서 승리)
- 7.8 이순신, 한산도 대첩 승리
- 7.10 고경명, 금산 전투에서 유팽로, 안영,고인후와 함께 순절(800명)
- 8.18 조헌, 금산전투에서 순절(칠백의총)
- 10.5-10.10 김시민, 진주성 전투 승전 (최경회 참전)
- 1593. 1.8 평양성 전투 승리
- 1593. 2.12 권율, 변이중 , 행주전투에서 승전
- 6.23 -6.29 제2차진주성 전투 김천일, 고종후, 최경회, 황진,
양산숙 순절
- 1593.10.1 선조, 한양에 도착
* 1594-1596 전쟁 소강상태
-1596.7.8 이몽학 반란 사건 발생
-1596. 8.4 선조, 김덕령 국문
- 1597. 1.14 정유재란 발생
- 1.27 이순신 구속됨
- 7.15 수군 칠전량 전투에서 패배 (원균, 이억기 전사)
- 8.18 남원성 함락됨 (만인의총)
- 9.16 이순신, 명량해전 승리
- 1598.8.18 풍신수길 사망
- 8.28 일본군 철수 명령 하달 ( 이후 철수 시작)
- 1598. 11.19 노량해전 승리 - 이순신 전사
나. 호남 의병
o 호남의병의 성격 (근왕의병, 호국의병)
고경명 vs 김천일
o 고경명(1533-1592) 연보
-1533 광주 남구 압보촌(압촌동)에서 출생
조부: 고운 (기묘명현), 부친 : 고맹영
-1558 문과 갑과 장원 급제
-1558-1563 호조좌랑, 사헌부 지평, 공조정랑등 역임
-1563 이량의 당 사건으로 울산군수 취임 못하고 광주로 낙향
* 이량 (명종 비 인순왕후 심씨 외삼촌), 기대승,허엽, 윤두수등 신진사림 축출하려다 심의겸 (명종비 심왕후의 동생)과 기대항의 반발로 이량의 당이 귀양 감.
* 고경명의 부친 고맹영과 장인 김백균이 이량의 당임
-1563-1581(19년간) 광주에서 기거 (유서석록등 지음)
-1581 황강 김계휘가 주청사로 갈 때 서장관으로 수행
-1582 율곡 이이가 원접사일 때 종사관으로 수행
-1590 동래부사 후 파직됨
-1592. 5.29 담양에서 거병 (담양 추성관 회맹)
-6.11 서울을 향하여 출발 6,000명
* 마상격문 - 조선의 명문장
-1592.7.10 금산전투에서 순절
* 김천일 5.6 거병, 송제민, 양산숙과 함께
6.3 서울로 출발 수원, 강화도에서 의병활동
o 고경명 순절 이후 호남 의병 (최경회, 임계영, 고종후-복수의병)
-1592년 10월 1차 진주성 싸움 김시민 승리 (최경회, 임계영 지원)
-1593년 2월 행주대첩 - 권율 , 변이중
-1593년 6월 23-6,29 2차 진주성 싸움
* 김천일, 최경회, 고종후 순절. 황진 전사
* 논개
* 진주성 창열사, 의기사, 국립진주박물관 -임진왜란 사료관
o 고경명의 흔적
금산 전투 1592.7.10 칠백의총 - 충남 금산 종용사
- 고경명 선생 비각 - 충남 금산 순절 장소
- 충남 금산 칠백의총 , 종용사
- 식영정, 소쇄원, 장성 묘소, 광주 남구 압촌동(압보촌)
- 국악 창극 “자미탄의 눈물”
* 세독충정 (고광순 구례 연곡사 - 항일의병 : 매천 황현의 시)
* 난중잡록 亂中雜錄 - 조경남(趙慶男)
재조번방지 再造藩邦志 - 신경
연려실기술
조선왕조실록 -선조수정실록
* 연려실기술 : 고경명 자료 함께 읽기
특히 마상격문(조선의 명 연설문)읽어 보기
3. 셋째 시간
가. 임진왜란 계속
o 충장사 : 김덕령 (1568-1596)
충장공 김덕령 장군은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에 형인 김덕홍을 따라 고경명 휘하에 가담하여 싸우던 중 형 김덕홍 등 수 많은 병사들이 전사하게 되고 어머니마저 병으로 돌아가시게 되자 형과 나라의 원수를 갚고자 군자금을 마련하여 의병을 일으켰다. 이에 선조임금은 장군에게 충용장이라는 칭호를 주었다. 장군은 고성지방에서 왜군을 무찌르고, 충무공 이순신과 수륙연합군을 결성하여 큰 공을 세웠다. 그 후 1596년(선조 29년) 7월 이몽학과 장군이 공모했다는 모함으로 국문을 받아 목숨을 거두었다.
나라에서는 1661년(현종 2년)에 장군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관직도 복직시켜주었으며 1788년(정조 12년) 에 충장공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1975년에 국가와 후손들이 무등산에 충장사를 세우고 광주시는 광주의 가장 번화가를 충장로라 이름하여 장군의 나라 사랑 정신을 추모하고 있다.
* 형 김덕홍(고경명과 같이 금산전투에서 순절), 덕령,
동생 덕보(풍암정)
* 광주 충효마을, 취가정, 사직공원의 ‘춘산에 불이 나니...’ 시비
* 연려실기술 김덕령 자료 읽기
o 경렬사 : 정충신 - 정지 장군의 9대 손
* 지혜와 용기로 국난을 극복한 금남군 정충신
- 17세 때 이치 전투 참여, 권율의 명령으로 행재소에 감. 이항복의 눈에 들어 벼슬.
- 장군은 1576년(선조 9년), 이 고장 광주에서 경열공 정지장군의 9대손으로 태어나 신동으로 소문이 자자했다. 17세에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그 후 명나라의 장수 이여송을 출영하여 기고만장하던 이여송의 마음을 눌렀다는 일화를 남겼다. 왜란의 상처가 가시기 전에 북방의 호족이 심상치 않은 걱정거리였는데, 적진에 들어가 적의 형편을 살피고 돌아와 앞으로 큰 화가 될 수 있음을 예언하기도 했다. 안주목사에 부임하여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1636년(인조 14년)에 62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었다. 장군은 이 고장 광주에서 미천한 어머니에게서 태어나 나라에 큰 공을 세우고 높은 관직에 올랐는데, 이는 가문을 중시하던 당시의 사회에서는 매우 드문 일이였다. 광주시에서는 광주의 중심가(도청에서 유동삼거리) 를 금남로로 이름 하여 장군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나. 경렬사(정지 장군), 충민사 (전상의 장군)
o 왜구를 몰아내고 절의를 지킨 고려 말의 명장 정지(鄭地)장군
장군은 전라도 나주에서 1347년(충목왕 3년)에 태어나서 1391년(공양왕 3년)에 45세의 나이로 광주별장에서 세상을 떠났다. 장군이 사시던 고려 말은 안팎으로 심한 고통을 겪는 세상이었는데 특히 왜구는 우리나라와 명나라의 골칫거리였다. 장군은 28세 때에 왜구 토벌책 및 토적책(討賊策) 10조를 상소하여 왜구를 토벌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37세 때는 지문하부사라는 재상의 자리에 올라 여러 도에 전함을 만들자고 건의했을 뿐만 아니라, 해군사령관에 양광, 전라, 경상, 강릉도의 도지휘처치사(4도의 육군총사령관)까지 겸하여 왜구의 토벌에 큰 공을 세웠다. 장군은 나라의 왜적을 물리친 것 뿐 아니라 충의의 절개가 굳기로 이름이 높았다. 이성계 일파가 정권을 잡은 후 장군을 포섭하고자 하였으나 장군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이성계일파가 제의한 벼슬도 마다하였다. 나라에서는 그 공과 절의를 기리어 경렬사란 사당을 지어 장군을 모시고 있다.
o 충민사 : 정묘호란 때 안주에서 순국한 전상의(1575-1627) 장군
전상의 장군은 1575년(선조 8년) 2월 17일에 지금의 광주시 사구동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력이 뛰어나서 글읽기와 무예를 함께 익히었는데 활솜씨가 특히 뛰어났다. 29세 때 무과에 급제하였고, 1617년(광해군 9년) 일본에 건너가 막부의 우두머리 덕천수층과 담판하여 포로 150명을 생환케 하는데 공헌했다. 그리고 50세 때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데도 큰 공을 세웠다.1627년(인조5년) 1월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장군은 안주에 방어진을 치고 쳐들어오는 적군과 장렬히 싸우다 전사하였다.
다. 질의응답
라. 마무리 (문화수도 광주, 의향 ․ 예향 ․ 미향)
자료 1 : 참고자료
* 읽어야 할 책
o 최영희, 임진왜란
o 이이화, 조선과 일본의 7년 전쟁
o 국립진주박물관, 고경명의 의병운동
o 국립진주박물관, 임진왜란 사료집
o 조원래, 임진왜란과 호남지방의 의병항쟁
o 김영헌, 김덕령 평전
o 신병주 지음, 조선을 움직인 사건들
* 유용한 인터넷사이트
o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o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DB
o 칠백의총
o 국립진주박물관
'남도문화의 재 발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포의 눈물 기행 (0) | 2010.04.20 |
---|---|
광주일보 테마칼럼, 약무호남 시무국가 - 김세곤 (0) | 2010.03.26 |
세계화와 개방화 - 광주일보 테마칼럼 2.26자 (0) | 2010.02.26 |
김세곤의 남도의 재발견 - 의의 길을 걷자 (광주일보 2010.1.29 ) (0) | 2010.01.29 |
김세곤의 테마칼럼, 2010년과 남도역사인물 - 광주일보 2010.1.1자 (0) | 201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