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에 대한 시

무궁화 -윤선도

 

 

   

무궁화


                 윤선도



오늘 핀 꽃이

내일까지 빛나지 않는 것은


한 꽃으로 두 아침 햇살 보기가

부끄러워서이다. 


날마다 새 해님 향해

고개 숙이는 해바라기만 있다면


세상의 옳고 그름을

누구 있어 분별하리.





木槿                      목근


甲日花無乙日輝            갑일화무을일휘

一花羞向兩朝輝            일화수향양조휘

葵傾日日如馮道            규경일일여풍도

誰辨千秋似是非            수변천추사시비


**************************************


우리나라 꽃, 무궁화는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진다. 이런 무궁화를 중국 사람들은 조개모락화 朝開暮落花, 하룻영화꽃이라고 낮추어 부르고  소인배에 비유하기도 한다.


그런데 고산 윤선도(1587-1671)의 생각은 이와 다르다.  무궁화는 ‘한 꽃으로 두 아침 햇살 보기가 부끄러워서 오늘 피었다가 오늘 진다’고 해석한다. 무궁화는 오로지 한 태양에게만 충성하는 꽃이라고 칭송한다.

이에 반하여 일편단심의 상징으로 알고 있는 해바라기는 오늘 핀 꽃으로 내일도 모레도 글피도 새로 떠오르는 해에게 인사하는 꽃이다. 마치 혼란했던 중국 5대(五代:907~960)시대에 5개의 나라에서 10명 이상의 황제를 모신 풍도馮道처럼. 그러니 무궁화가 참꽃인지 해바라기가 참꽃인지 시시비비를 제대로 가려야 할 것이다.

 

윤선도는 효종임금을 위하여 평생 충성을 한 사람이다. 그런데 그는 조정에서 간신배라고 비방을 받았으며  성품이 강직하여 자주 유배를 당하였다.

우리나라 최고의 시인인 그는 완도 보길도에서 ‘어부사시사’ ‘오우가’ 시조 등을 짓고 자연과 더불어 살면서 여생을 마쳤다. 고산의 이 시는 무궁화, 해바라기에 대한 일반적 통념을 단번에 반전시켜주는 명시 名詩이다.




 












'꽃에 대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화 -김인후  (0) 2007.02.01
꽃, 그리움 시집을 2월중순에 발간...  (0) 2007.01.22
작약 -기대승  (0) 2007.01.13
꽃 그림들...  (0) 2006.12.21
[스크랩] 동심초  (0) 2006.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