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자리와 상생의 노사

노사관계를 다시 생각한다. - 김세곤 전남대 경영대 특강

 

노사관계를 다시 생각한다.



                  2010. 4.15 18시-19시 전남대학교  

              

                  김세곤 (전남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

        

1. 시작하면서


   o 프로필



2 노사관계  勞使關係 



  가. 노사관계, 노동관계 


    Labor Relation,  Industrial Relation

   

    

  나. 노사관계의 결정 요소

              

   o 주체 : 노 ․ 사 ․ 정

   o 역학 : 가치(이념), 파워, 전략  


  * 이념 :  정치적 조합주의 , 경제적 조합주의


  * 파워 : 노동3권(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vs 인사, 경영권

         * 파업 능력  * 인력 독점력


  * 전략 : 강경 vs 온건


   o 갈등 = F ( 차이 / 부정적 의견)


       * 차이 = 성장이냐 분배이냐 / 고용안정이냐 임금인상이냐

                보수와 진보 / 갈등은 없어야, 갈등은 불가피한 것  


       * 부정적 의견 = 자본가 타도 (노동해방) / 노조는 없어져야 

     

       * 소결 : 상생이냐?  공멸이냐? 


다. 노사관계법


    o 개별적 노사관계법 : 근로기준법 등

    o 집단적 노사관계법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라. 노 ․ 사 ․ 정 그리고 이해관계인 (소비자, 주주, 관련 업체), 관련자 (국제기구 ILO, 정당, 이익집단, 관련 단체) 

 

  마. 노동 3권과 공익사업


      - 철도, 지하철이 파업을 하면,

      - 전기가 끊기고, 수돗물이 안 나온다면. 


       * 필수유지 업무


3. 노동부  ---> 고용노동부


   o 정책의 중심이 노사관계에서 고용으로 이동


    * 지방노동청과 지방노동위원회 (조정과 심판) 


4. 후배들에게 : 5가지 조언


  o 진정으로 나를 알기 : 자아


   o 꿈 가지기 : 목표 ,  Dreams come true


  o 즐기는 일을 하기: 지 < 호 < 락


  o 세상 읽기 :  10년 후 , 20년 후, 30년 후 , 2050년

     

  o 기본에  충실하기 : 어학, 수학, 문 사 철


      

5. 질의응답




                                                감사합니다.

 

4월 15일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학생 100여명에게 위 강의를 하였다. 한 수강생의 글이 실려 있어 옮긴다.

 

 

벌써 어제네요~

저녁에 강의실에서 만나는 교수님과 수강생들은 교수님 말씀처럼 색다른 느낌이었습니다 ^^

 

김세곤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님의 특강 시간은

위엄이 느껴지는 외모와는 다르게 무척이나 친근하고 유쾌했던 강의였습니다.

사실, 처음 위원장님이 강단에 앉아 계신 모습을 보고

아~ 오늘 열심히 졸겠구나 하는 걱정을 약간 했었거든요 ㅎㅎ

 

그런데 강의 시작부터 끝날때까지 저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몰입할 정도로 흡입력이 있었습니다 ^^

강의의 내용도 '노사관계를 다시 생각한다'는 주제처럼 노사관계에 대한 사고를 재정립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끝에서는 전남대 후배들에게 인문학의 기초를 열심히 쌓으라는 조언과 함께 직업의 선택에 대한 아낌없는 충고도 해주셨구요.

 

5시간을 들여 저희들을 위해 강의안을 준비하셨다는 김세곤 위원장님 감사드리구요~

그리고 좋은 만남을 주선해 주신 교수님께도 감사합니다~

 

즐거웠던 강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