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내와 세계여행

[김세곤의 세계문화기행] 예술과 혁명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14) 에르미타시 박물관(8) - 루벤스 방

[김세곤의 세계문화기행] 예술과 혁명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14) 에르미타시 박물관(8) - 루벤스 방

승인 2019-10-28 11:41:39

                       

center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1626년에 이사벨라 브란트와 사별한 루벤스(1577~1640)는 4년간 홀로 지내다가 1630년 12월에 16세의 헬레나 푸르망과 재혼했다. 37살 어린 아내를 맞이한 루벤스는 열정이 다시 살아났다.

1631년에 루벤스는 ‘정원에서 헬레나와 함께 있는 루벤스’를 그렸다. 이 그림은 아내 헬레나가 루벤스와 함께 안트베르펜 저택의 정원을 지나 현관 앞으로 걸어가고 있다. 노란 모자를 쓰고 손에 부채를 든 헬레나 옆에는 검은 모자와 검은 옷을 입은 루벤스가 있다. 헬레나 옆에는 이사벨라 브란트가 낳은 아들 니콜라스(12세)가 있다. 이들 앞에는 공작새가 있다. 제우스신의 부인 헤라(Hera)는 결혼과 가족의 수호신인데, 공작새는 헤라의 상징물이다.

center
'정원에서 헬레나와 함께 있는 루벤스'(뭔헨, 알테 피나고테크 소장) 사진=김세곤

1632~1633년에 루벤스는 ‘사랑의 정원’을 그렸다. 스페인 프라도 미술관에서 본 이 그림은 정원에서 선남선녀들이 사랑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가운데엔 다양한 의상을 한 여인들이 담소를 나누고 있고, 왼편엔 모자 쓴 남자가 어린 천사가 등을 밀고 있는 젊은 여인과 춤을 추고 있다. 이들이 바로 루벤스와 헬레나이다. 그 옆에는 남자와 여자가 사랑을 나누고 있다. 오른 편 맨 위에는 돌고래 위에 앉아 있는 여인상의 가슴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는데 이는 사랑과 다산을 상징한다. 하늘에선 천사들이 꽃과 비둘기로 축복하고 있고, 뒤편에도 은밀한 사랑을 하고 있다. 이 그림은 펠리페 4세가 특히 좋아한 작품이었다.

center
사랑의 정원(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소장) 사진=김세곤


1632년 1월에 루벤스와 푸르망 사이에 첫 딸 클라라 요한나가 태어났다. 1633년 7월에는 큰 아들 프란츠가 태어났다. 너무 기쁜 나머지 루벤스는 헬레나와 아이의 그림을 여러 장 그렸다.

루벤스는 1635년경에 ‘큰 아들 프란츠를 안고 있는 헬레나 푸르망’을 그렸다. 헬레나가 집의 테라스에서 알몸의 프란츠를 안고 있다.

center
'큰 아들 프란츠를 안고 있는 헬레나 푸르망'(뮌헨, 알테 피나고테크 소장) 사진=김세곤


1636년에는 ‘클라라 요한나, 프란츠와 함께 있는 헬레나 푸르망‘ 그림을 그렸다. 특히 이 그림은 루벤스가 죽는 순간까지 그의 화실에 놓여 있었다.

center
'클라라 요한나, 프란츠와 함께 있는 헬레나 푸르망(파리, 루브르박물관 소장) 사진=김세곤


루벤스는 헬레나에게서 5명의 자식을 두었는데 막내딸은 그가 죽은 후 8일 후에 태어났다.

한편 1635년에 루벤스는 메헬렌 근처의 스텐 성을 구입했다. 그는 이 성에서 헬레나와 함께 전원생활을 즐기면서 헬레나를 모델로 그림을 여러 장 그렸다. 마지막 불꽃을 태운 것이다.

1636년부터 1638년까지 루벤스는 ‘미의 세 여신 (三美神)’를 그렸다. 삼미신은 비너스를 모시는 세 여신이 정원에서 서로 회동하고 모습을 담은 그림인데 삼미신은 아글라이아(미),에우프로시네(은총). 탈레이아(풍요)이다. 풍만하고 아름다운 세 여신은 장미 넝쿨 아래서 나신으로 서로 안고 있다. 루벤스는 늘 키 크고, 붉은 뺨의 풍만한 금발 여인을 그렸는데, 그 모델은 다름 아닌 아내 헬레나 푸르망이었다. 필자는 프라도 미술관에서 이 그림을 보았는데 복제품을 한 장 샀다.

center
삼미신(프라도 미술관, 복제품) 사진=김세곤


루벤스는 1636~1638년까지 ‘파리스의 심판’을 그렸다. 여기에도 세 명의 여인이 등장하는 데 벌거벗은 아프로디테의 모델이 역시 젊은 아내 헬레나였다.

그런데 루벤스가 가장 심혈을 기울인 그림은 1638년경에 그린 ‘욕실에서 나오는 헬레나 푸르망’이다. ‘모피를 걸친 헬레나 푸르망’이란 제목으로도 불린 이 그림은, 헬레나가 거의 벗은 채 어깨를 휘감은 모피만 걸치고 진홍 카펫 위에 서 있다. 갓 목욕하고 나온 헬레나의 몸매는 유백색(乳白色)으로 빛나고 있는데 에로틱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이 그림은 루벤스가 가장 아껴 늘 가지고 있었는데, 그는 유언장에서 경매목록에서 제외하고 헬레나 소유로 남긴다.

center
욕실에서 나오는 헬레나 푸르망(빈, 미술사 박물관 소장) 사진=김세곤


루벤스는 1640년 5월30일 통증으로 심장발작이 일어나 별세했다. 그는 헬레나와 결혼한 1630년에서 1640년까지 10년간 가장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그의 그림도 놀라운 생명력으로 불탔다.

여행칼럼니스트/호남역사연구원장
<저작권자 © 글로벌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