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 그리고 전라도

(28)
퇴계와 고봉의 논변에서 배우는 지혜 -한국고전번역원 이상하 글 같음과 다름의 조화 : 퇴계(退溪)와 고봉(高峯)의 논변에서 배우는 지혜 필자 : 이상하 날짜 : 2009-05-27 조회 : 728 퇴계(退溪) 이황(李滉)과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사이에 벌어진 사칠논변(四七論辨 : 사단(四端) · 칠정(七情)에 관한 논변)은 우리 사상사에서 가장 큰 사건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
화순 적벽 그리고 명창들의 판소리 화순 적벽 광주 명창 송순섭 그는 적벽가로 유명하다. 임방울 시비의 뒤 부분 ( 광주 송정공원)
평양 기생의 죽음을 슬퍼하며 -백호 임제 평양 기생의 죽음을 슬퍼하며 고운 자태가 평양성에서도 뛰어나 두 눈썹이 먼 산처럼 가늘었지 꽃이야 열매 맺을 인연이 없었다지만 옥 같은 허리가 어찌 여위어졌나. 세상일은 화장하던 거울에 담고 춤추던 옷에는 먼지만 날리네. 강 버들에 제비는 돌아오건만 꽃다운 넋은 어디에 부쳐졌나. 평양의 ..
전주 경기전 - 조선왕조 창업자 태조를 모신 곳 전주 경기전의 이모저모 하마석 담너머로 보이는 경기전의 모습 문 위에 새겨진 卍자와 亞자가 새겨져 있다. 卍만만字는 범어로 원은 부처님의 가슴에 있다는 형상으로 吉祥海雲길상해운이라는 뜻이고 亞버금아字는 다음의 자리를 뜻하니 전주가 본관인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였으니 이곳에 경기..
광주 풍영정 문화재자료 제4호 (광산구) 명 칭 풍영정(風詠亭)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조경건축/ 누정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1987.12.31 소 재 지 광주 광산구 신창동852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광산김씨문중 관 리 자 광산김씨문중 상 세 문 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문화정보과 062-940-8225 일반설명 | 전문설명 풍..
만장 -죽은 이을 그리워하는 시. 깃발-만장 [輓章]에 대한 이해 문체에 따라 만사(輓詞)와 만시(輓詩)로 구분된다. 길이 8자, 나비 2자 내외의 비단이나 종이에 적어서 깃발을 만들어 상여 뒤를 따르고 장례가 끝나면 빈청(殯廳)에 보관한다. 1. 만장(輓章)=만사(輓詞)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글. ;상여가 떠날 때 만장을 앞세워 장지로 떠..
나주 향교 나주향교 지도보기 |-->동영상 | VR | 이미지 전남 나주시 교동 32-1 나주 향교는 고려 성종6년(987) 8월 12목에 향교를 설치할 때 창건되어 조선 태조 7년(1398)에 중수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나주향교는 지금의 위치에 있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말 조선초에 파주염씨 낙남조(廉順恭)가 살던 땅을 향교..
나주 경현서원 경현서원 (景賢書院) 지정번호 : 비지정문화재 소 재 지 : (520-812) 전남 나주시 노안면 영평리 영안마을 경현서원은 나주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조선유학의 정통을 대변하는 많은 인물들을 배향하였던 곳이다. 1583년(선조 16) 나주를 중심으로한 도내 유림들이 상소를 올림에 따라 김굉필 (1454-1504)을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