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진왜란

(225)
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8회 노량해전 /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 이순신 “적을 모두 죽일 수 있다면 여한이 없겠다”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8회 노량해전 /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댓글 0기사입력 : 2025.06.10 14:09 왜군, 고니스 구원 광양만행이순신, 모든 장수 대기 명령가장 격렬한 동아시아 해전이순신, 조총 탄환 맞고 절명1598년 11월 19일, 노량은 죽음의 바다였다. 불패의 명장 이순신 장군은 임진왜란 최후의 해전에서 왜적의 총탄을 맞고 전사했다. 11월 17일 초저녁에 순천왜성에서 고니시 유키나가(1558~1600)는 봉화를 올려서 남해도에 주둔중인 사위 소 요시토시(宗義智 대마도주 1568~1615)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사천에서 남해 창선도에 도착한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 1535~1619)와 고성의 다치바나 무네시게, 부산의 데라자..
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6회)이순신과 진린, 순천왜교성으로 다시 출전하다 /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 유정, 고니시 철수 보장… 진린·이순신, 퇴로 막아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6회)이순신과 진린, 순천왜교성으로 다시 출전하다 /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댓글 0기사입력 : 2025.05.08 13:51 유정, 밤을 틈타 왜교성 철수中군사, 여자 대동 진중 문란고니시-유정, 은밀 화의 진행1598년 10월 7일에 명나라 도독 유정은 왜교성의 포위를 풀었다. 10월 9일에 유정은 각종 무기와 군량 수천 석을 방치한 채 남원 부유창으로 완전 철수하고 말았다. 이순신도 진린과 함께 10일에 전라좌수영, 12일에 나로도에 도착하여 고금도 진영으로 돌아갔다. 이리하여 조명연합군의 왜교성 공격은 실패로 끝났다. 10월 12일에 우의정 이덕형이 명나라 군대의 패전에 관하여 치계하였다. “제독(유정)이 밤..
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7회)이순신, 진린과 크게 다툰 후 노량으로 출전하다 /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 이순신 “대장된 사람은 화친을 말해선 안돼”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7회)이순신, 진린과 크게 다툰 후 노량으로 출전하다 /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 댓글 0기사입력 : 2025.05.22 14:34 고니시의 바닷길 완전 봉쇄유정, 진린에 “고니시 보내자”왜, 진린 진중 드나들며 “강화”1598년 11월 9일에 이순신은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과 함께 완도 고금도를 떠났다. 조명 연합함대는 9일 저녁에 백서량 (여수시 남면), 10일은 전라좌수영 앞바다에서 도착하여 11일에는 순천 앞의 유도에 진을 쳤다.11월 13일에 고니시는 왜선 10척을 선발대로 출항시켰다. 고니시는 이미 유정에게 뇌물을 주어 왜군 철수를 보장받은 상태이어서 조명 수군도 눈감아주리라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는 진린과 이순신..
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5회)조명연합군의 순천왜성 공격 /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 明 제독 유정, 싸울 뜻 없고 강화 후 퇴각하려 해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5회)조명연합군의 순천왜성 공격 /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 댓글 0 기사입력 : 2025.04.21 14:45 사다리 준비 핑계로 전투 중지수군 적극 공세 속 육군 소극적분격한 진린, 유정에 엄중 항의1598년 9월 21일에도 유정은 왜교성을 공격하였다. 그런데 공격의 강도는 미약했다. 조명연합 수군은 아침에 진군하여 하루종일 싸웠으나, 물이 매우 얕아서 가까이 다가가 싸울 수가 없었다. 이런 와중에 남해의 적이 배를 타고 들어와서 정탐하려 하자 이순신의 수군 허사인 등이 추격했더니 적들은 육지에 내려 산으로 도망갔다. 그래서 왜군 배와 여러 가지 물건을 빼앗아 와서 진린에게 바쳤다.22일에도 조명연합수군은 공격을 하였다..
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4회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과 조명연합군의 왜군 공략 히데요시 “내가 죽거든 지체없이 조선 철병” 유언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4회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과 조명연합군의 왜군 공략댓글 0기사입력 : 2025.04.08 14:17  명군, 사로군으로 편성조명 연합군 11만여명고니시 해상진출 봉쇄# 조명 연합군의 왜군 공략1598년 8월 형개가 명군을 통솔하기 위해 서울에 들어왔다. 형개는 서울 도착 즉시 명군 재정비에 나섰다. 그는 명군을 사로군(四路軍)으로 편성하여 울산·사천·순천 등의 왜군을 공략하기로 하였다.경상좌도 방면의 동로군(울산)은 명나라 마귀, 조선 김응서와 선거이, 전라도의 서로군(순천)에는 명나라 유정, 조선 권율, 경상우도 방면의 중로군(사천)에는 명나라 동일원, 조선 정기룡이었다. 수로군(水路軍)은 명나라 진린과 조선 이순신이었..
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0회)명량대첩 미스테리 /김세곤·호남 역사연구원장 세계 해전사 보기드문 특이한 전투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50회)명량대첩 미스테리 /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댓글 0기사입력 : 2025.02.05 14:36이순신 “승리는 천행” 300m철쇄 설치 허구 거북선도 참전 안해 강강술래 사실 가능  명량대첩은 세계 해전사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해전이다. 이 해전은 양치기 소년 다윗이 작은 돌멩이 하나로 거인 골리앗을 쓰러뜨린 싸움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순신이 『난중일기』에 적었듯이 이는 천행(天幸)이었다. 하늘이 도운 것이다.이처럼 명량대첩은 객관적으로 보면 도저히 이길 수 없는 싸움이었기에,  시간이 흐르면서 사실과 다른 허구적 내용들이 덧붙여졌다. 더구나 TV 드라마나 영화는 흥미 위주로 허구적 요소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역사는 사실(fact..
일본의 임진왜란 흔적[5회]-강항, 조선으로 돌아오다 일본의 임진왜란 흔적[5회]-강항, 조선으로 돌아오다 김세곤 여행칼럼니스트 /호남역사연구원장 승인 2024.07.01 10:59 강항을 비롯한 유학자와 가족들 38명은 1600년 4월 2일에 교토 후시미를 떠나 5월 19일에 부산에 도착하였다.그러면 강항이 귀국하게 된 내역부터 살펴보자.이는 강항이 쓴 『간양록』의 ‘섭난사적’과 ‘적중문견록’에 나와 있다.강항의 귀국 항로경자년(1600, 선조 33) 2월 6일에 적장(賊將) 좌도(도도 다카토라 藤堂高虎 1556~1630)가 시코쿠 오즈성(大津城)에서 가강(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부름을 받아 교토 후시미로 왔다.강항은 대구에서 잡혀온 김경행이 왜글을 좀 쓸 줄 알기에 그를 시켜 왜나라 글로 좌도에게 알리도록 하였다.“ 일없이 우리들을 먹여 살린들 당신네들에..
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33회)/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 서인, 이순신 폄하… 원균 수군 장수 기용 주장임진왜란과 이순신 그리고 나대용(33회)/김세곤·호남역사연구원장댓글 0기사입력 : 2024.05.22 15:03  “이순신, 적 토벌하지 않아   원균, 해적 섬멸 구국하라”선조, 원균을 경상우수사로 임명하다  1597년 1월 27일 오후에 선조는 별전에서 다시 어전 회의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영돈녕부사 이산해, 영의정 류성룡, 판중추부사 윤두수, 좌의정 김응남, 지중추부사 정탁, 경림군 김명원, 호조판서 김수, 병조판서 이덕형, 병조참판 유영경, 이조참판 이정형, 상호군 노직, 좌승지 이덕열 등이었다. 이 회의에서 이순신과 관련된 부분을 살펴보자.윤두수 : “지난번에 비변사에서 이순신의 죄상을 이미 아뢰었으므로 상께서도 이미 통촉하시겠지만 이번 일은 온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