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일손의 후손들

김일손 연보 -호가 탁영임

규장각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가져온 자료입니다.

 

김일손 선생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요.

 

김일손 선생에 관한 자료는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만든 책을 보면 잘 알수 있습니다.

 

 블로그 주인

 

 

 

 

  濯纓先生年譜
          古 4650-42
          1548년(명종 3) 金大有 편집, 1874년 金昌潤 등 간행.
          1책. 목활자본. 29. 5   20cm.

     조선전기의 문신, 학자이며 戊午士禍의 피화자인 金馹孫(1464-1498)의 연보.  1548년
   조카인 金大有(1479-1551)가 김일손의 日記와 手筆을 취하고 견문을  참조하여  편집한
   연보 草本과, 1548년 이후에 김일손의 추숭작업과 관련된  기록들을  가지고  1874년에
   후손 金普炯·金昌潤 등이 편집한 연보로 구성되어 있다. 金馹孫의  字는  溪雲,  호는
   濯纓·少微山人. 본관은 金海. 執義 金孟의 아들로 金宗直의 문인. 김종직이  쓴  〈弔
   義帝文〉을 史草에 실었다가 勳舊派인 柳子光 등의 모함에 의한  1498년의  戊午士禍로
   희생되었다. 저서로는 〈會老堂記〉·〈續頭流錄〉 등 26편이  《續東文選》에  수록되
   어 있다. 金大有는 字가 天佑, 호는 三足堂으로  직제학 金駿孫의 아들.  趙光祖·曺植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射御에도 능하였다. 戊午士禍 때는 金駿孫과 함께 호남에  유배
   되었다가 1506년 중종반정으로 석방되었고, 1519년 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己卯士禍로
   다시 파직되었다. 저서로는 《三足堂集》이 있다. 권두에 洪淳穆의 序文이 있고,  권말
   에 金錫輔·李龍雨·李在喜·金昌潤의 발문이 있다. 〈규6753〉本과는  기본적으로  동
   일한  판본이나 약간의 재편집을 한 것이 특징인데, 권말의 1694년의 記事  중에서  연
   보가 완성된 경위를 설명하는 내용이 조금 다르고, 〈규본〉에는 있던  趙成夏·金普炯
   ·金永勳의 발문은 삭제되어 있다. 연보는 상, 하 2권과 續譜로 구성되었는데, 상,  하
   2권의 기준점은 연산군의 즉위이다. 상권은 1464년 慶尙道 淸道君  上北面  雲溪里에서
   출생한 것에서 1494년(성종 25)까지, 하권은 1495년(연산군  1)부터  1548년  김대유가
   연보를 간행한 것까지를, 續譜는 1578년(선조 3) 紫溪祠를 書院으로 한 기록에서  시작
   하여, 김일손이 書院에 제향된 사실과, 김일손의 神道碑銘을 찬한 것,  文集이  重刊된
   사실 등 追尊사업을 기록하고 있는데, 1874년에 연보가 완성된 사실도 기록하고  있다.
   연보의 주요 내용은 17세에 金宗直의 문하에서 수업하고 金宏弼·鄭汝昌·南孝溫  등과
   道義之交를 맺은 것과, 24세 이후 관직에 진출하여  注書·博士·典籍·掌令·正言·吏
   曹佐郞·校理 등 청요직을 두루 역임한 것, 33세에 昭陵復位를 청한 전말,  34세에  戊
   午士禍로 被禍된 사실 등이다. (《奎章閣韓國本圖書解題》 史部 4.  115쪽  濯纓先生年
   譜〈규6753〉의 해제 참조) (심재우) (6-9)

 

 

 

 

 

  濯纓先生年譜續〈想白古 923. 251-G429t〉
          1915년. 金榮灝 발행.
          2권1책. 목판본. 32   21. 2Cm.

     조선전기의 문신, 학자인 金馹孫(1464-1498)에 관한 연보  및  世系·五世八高祖圖·
   科榜錄·集賢殿學士同僚錄·師友錄으로 구성된 책. 책의 끝에 1915년 京城府  長沙洞에
   서 金榮灝에 의해 발행되고 廣信社에서 인쇄했음을 기록한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上,
   下 2권인데, 上권의 연보는 1885년 이후의 기록들로서, 1874년까지의 기록인 古  4650-
   42〉本에서 기록하지 못한 金馹孫의 追尊사실들을 기록하고 있다.  下권의〈世系〉에는
   김일손이 中祖 管으로부터 7세손으로 조부는 克一, 부는 孟임이 나타나  있고,  〈科榜
   錄〉에는 金馹孫이 1486년 生員試, 進士試에 급제했을 때의 科榜을 싣고 있으며,  사우
   록에는 金宗直·鄭汝昌·金宏弼·南孝溫·兪好仁·表沿末·崔溥柳順汀·鄭希良  등  56
   인이 수록되어 있다. 사우록에 이어  柳道獻·李容元·金顯  ·金容培·金雲培·金宗應
   의 발문과 본책의 발행자인 15대손 金榮灝의 발문등이  있으며,  권말에는  年譜考異를
   첨가하여 연보의 내용들에 대한 교정을 하고 있다. (金馹孫의 연보에 대한  자세한  내
   용은 古 4650-42〉의 해제 참조  (심재우)   (3-7)

'김일손의 후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일손의 글 재주  (0) 2006.10.16
김일손의 수필 -충과 효에 대하여...  (0) 2006.10.10
사관과 실록  (0) 2006.06.15
김일손 연보  (0) 2006.06.15
김일손의 이미지  (0) 2006.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