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사실과 역사왜곡 - 단종의 죽음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역사 공부를 하면서 느낀 점이 여러 가지이다. 그 중 하나가 “역사 기록을 완전히 믿지 말라”이다. 조선왕조실록도 역사적 사실(Fact)을 왜곡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 사례가 비운의 왕 단종의 죽음이다. 단종은 숙부 수양대군에게 양위하고 노산군이 되어 영월로 귀양 가서 죽임을 당하였다.
그런데 1457년(세조 3년) 10월21일자 세조실록에는 “노산군(魯山君)이 스스로 목매어서 자살하자 예(禮)로써 장사지냈다.”고 되어 있다.
1471년에 편찬된 세조실록은 편찬 책임자가 신숙주 ․ 한명회 등 정난공신들이고, 세조는 왕위를 찬탈하였기 때문에 기사 내용도 제약이 많고 편찬자의 의도가 많이 개입되었다. 따라서 단종 관련 기록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이런 세조실록을 정면으로 반박한 이는 사관 김일손(1464-1498)이었다. 이는 연산군일기 1498년 7월 13일 기록에 나온다. 세조실록이 편찬된 지 27년만이었다.
사초에 기록된 노산대군의 일에 대한 김일손의 공초 내용
김일손은 공초하기를, “사초(史草)에 이른바 ‘노산(魯山)의 시체를 숲속에 던져버리고 한 달이 지나도 염습(斂襲)하는 자가 없어 까마귀와 솔개가 날아와서 쪼았는데, 한 동자가 밤에 와서 시체를 짊어지고 달아났으니, 물에 던졌는지 불에 던졌는지 알 수가 없다.’고 한 것은 최맹한에게 들었습니다.
신이 이 사실을 기록하고 이어서 쓰기를 ‘김종직이 과거하기 전에, 꿈속에서 느낀 것이 있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지어 충분(忠憤)을 부쳤다.’ 하고,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붙였습니다.”하였다.
여기에서 조의제문은 김종직이 ‘정축 10월 어느 날에 나는 밀성(密城)으로부터 경산(京山)으로 향하여 답계역(踏溪驛)에서 자는데, 꿈에 신(神)이 칠장(七章)의 의복을 입고 헌칠한 모양으로 와서 스스로 말하기를 「나는 초(楚)나라회왕(懷王) 손심(孫心)인데, 서초 패왕(西楚霸王) 항우) 에게 살해 되어 빈강(郴江)에 잠겼다.」 하고 문득 보이지 아니하였다. 나는 꿈을 깨어 놀라며 생각하기를 「회왕(懷王)은 남초(南楚) 사람이요, 나는 동이(東夷) 사람으로 지역의 거리가 만여 리가 될 뿐이 아니며, 세대의 선후도 역시 천 년이 휠씬 넘는데, 꿈속에 와서 감응하니, 이것이 무슨 상서일까? 또 역사를 상고해 보아도 강에 잠겼다는 말은 없으니, 정녕 항우(項羽)가 사람을 시켜서 비밀리에 쳐 죽이고 그 시체를 물에 던진 것일까? 이는 알 수 없는 일이다 하고, 드디어 문(文)을 지어 조문한다. 삼가 초 회왕을 조문하노라 하였다.
그런데 일손이 그 문(文)에 찬(贊)을 붙이기를 ‘이로써 충분(忠憤)을 부쳤다.’ 하였다.
그런데 유자광은 항우는 세조를 비한 것이요, 초 회왕 의제(義帝)는 노산(魯山) 에게 비한 것이라고 왜곡하였다. 이리하여 세조의 증손자 연산군은 희대의 간신 유자광의 말을 그대로 믿고, 김일손을 능지처참하고 김종직을 부관참시 한다. 또한 관련자와 고 김종직의 제자들을 처형 내지 귀양 보낸다. 이것이 바로 무오사화이다.
한편 중종 11년 (1516) 11월23일에 중종은 노산과 연산의 후손 세우는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 자리에서 호조 참의 이맥(李陌)은,
“일찍이 듣건대, 노산이 세조께 전위(傳位)하였는데 세조께서 즉위한 뒤 인심이 안정되지 않으므로, 부득이 군(君)으로 강등하여 봉하였다가 이어 죽임을 내렸다 합니다.” 하였다.
한편 이자 李耔(1480- ) 는 음애일기(陰崖日記)에서 사기(史記)에, “노산이 물러나 영월에 있다가 금성군이 패했단 말을 듣고 자진(自盡)했다.” 하였으니 이것은 당시 여우같은 무리들이 권세에 아첨하느라고 지어서 한 말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현종 10년(1669) 1월 5일에 송시열, 송준길 등은 중종 이래의 사화, 강빈, 정릉, 엄흥도의 일 등을 아뢰었다
노산군(魯山君)이 살해당한 후 아무도 시신을 거두어 돌보지 않았었는데, 그 고을 아전 엄흥도(嚴興道)가 곧바로 가 곡하고, 스스로 관곽(棺槨)을 준비해 염하여 장사를 치렀으니, 지금의 노산군묘(魯墓)가 바로 그 묘입니다.
요컨대 역사적 진실은 숨길 수 없다. 5.18 광주민주화 항쟁도 그렇다. 전두환 정권이 ‘폭도’라고 한 사람들은 사실은 ‘민주투사’였다. 역사왜곡은 한 순간이지만 진실은 영원하다. 춘추직필이다.
'사관 김일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초에 기록된 노산군에 대한 기록, 김일손 (0) | 2016.08.15 |
---|---|
유자광의 유배, 1507년 (0) | 2016.08.13 |
유자광에 대한 평가와 무오사화의 전말 (0) | 2016.08.13 |
김일손과 무오사화 (4) (0) | 2016.08.13 |
무오사화의 또 다른 주역 윤필상 (0) | 2016.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