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도의 문화 예술

문화 수도 광주의 재발견 - 광주 상공회의소 강의 자료

문화가 경쟁력입니다.

     -문화수도 광주의 재발견

 

  이 글을 다시 읽습니다. 작년에 쓴 글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유니크하고 창조적인 도시 만들기. 광주는 그래야 경쟁력이 있습니다. 그러기위하여는 광주 사람이 먼저 광주을 알고 사랑하여야 합니다.

                2009.8.21  15:00-16:30 광주 상공회의소

                  김 세 곤 (전남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


1. 들어가면서


 o  질문 3가지

   

    1) 서양문화의 원류는 ? (두 가지)

       중국문화의 원류는 ? (2-3가지)


    2) 아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 (지 <호< 락) 이란 글이 나오는 책 이름은?

      


    3) 이순신과 원균의 차이는 ?


       

2. 문화가 경쟁력입니다.


   o 지식경제사회에서 문화 비즈니스 사회로.  

   

    o 기업은 제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문화를 판다


      - 신세대들은 제품의 성능과  가격을 보고 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라 라이프스타일을 삽니다. 이제 기업은 값싸고 품질 좋은 제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라이프스타일과 감성 즉 문화를 파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의 결합 -  냉장고, TV, 휴대폰

       (디자인, 패션, 스타일)


    * 몽블랑 만년필 이야기 (2003년 선물 받음)

    - 쇼팽 CD, 몽블랑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폴란드 바르샤바 쇼팽공항


   * 과시적 소비 (베블렌의 사회학 ) : 명품 구입에 열 올리기

   *  디자인, 유행, 스타일, 소비자 수요(욕구)

      SBS 주말 드라마 <스타일>의 김혜수  edge

 

 o  개인도 돈이 많은 것 보다 문화마인드를 가진 자가 더 경쟁력이 있다.


   - 지식 근로자(knowledge worker)에서 창조적 근로자 (creative worker)로.


   - 이제 지식은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구글에서 찾으면 됩니다. 하지만 많은 지식 중에서 필요한 것만 추출 ․ 가공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 하고 고객을 만족시키려면  창의성과 유연성 그리고 통찰력이 있어야 합니다. 


  - 이러한 창의성과 유연성 그리고 통찰력을 키우는 것이 문화마인드입니다. 그런데 문화마인드는 차가운 머리와 따뜻한 가슴이 함께 하여야 생기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인문학과  문화 예술의 융합이 인재를 만드는 자양분이라는  것입니다.


     * 창조 경영


 o  도시의 경쟁력도  문화가  1순위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  20세기가 국가의 시대라면 21세기는 도시의 시대


    -  죽기 전에 꼭 가보고 싶은 도시 1 순위는?


         ( 파리, 뉴욕, 런던, 상해, 도쿄, 로마... ???? )


    -  경제와 문화의 결합,  창조 도시 만들기      


       * 인천 세계도시 축전


 

3. 도시의 경쟁력 ,  문화의 재발견

     -  문화수도 광주   바로 알기


   o 다음 광주의 도로명은 누구의 호인가?


      - 충장로   - 금남로  - 하서로 - 고봉로

      - 면앙로   - 눌재로  - 사암로  - 제봉로


   o 광주 하면 생각나는 것은?

      

       * 광주의 브랜드는?

       * 광주의 랜드 마크는 ?  

      

  o 광주에 손님이 오면 어디로 데리고 가십니까?


     * 광주의 문화 관광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o 광주 정신의  뿌리에 대하여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 무등일보 연재 “호남 정신의 뿌리를 찾아서” - 16세기 호남 사림 이야기 


  o 우리는 광주의 역사를 공부한 적이 있는 가 ?


    * 국립 광주박물관 개관 30주년 기념  “ 광주 유구한 문화의 도시”  (2008.9. 11- 2008.12.28 국립광주 박물관에서 전시)


  o 광주의 대표음식은?


  o 광주의 밤 문화 night life는?


  o 국창 임방울이 부른 ‘쑥대머리’, ‘추억 (일명 앞산도 첩첩하고)’ 을       들어 보시었나요?  


  o 광주의 대표적인 화가는? 그  그림을 보시었는지요?


  o 광주의 대표적인  문학 작가는?  문학 작품은?


    

4. 광주 문화의  경쟁력을 위하여


   가.  차별화된 경쟁력 : 독창성 (독특함과 창조성)

        unique and creative


   -  광주에 와야만 맛볼 수 있는 고유한 그것 찾기.

    -  광주의 역사, 문화와 연계하기

    - 광주의 브랜드와 접목시키기


  나. 세계화를 향한 노력


     - 세계속의 광주, 글로벌 광주

     

      - 세계에 광주를 알려라.


        * 특히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관광객을 잡아라.


        * 세계의 중심 : 미국과 중국  Chimerica

        * 세계의  언어는?  영어

        * 티베트와 위구르 독립운동의 차이점은?

        

   다. 로컬과 글로벌의 결합


    o glocalization = global + localization


     o 2015년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



   라. 문화 디지털과 스토리텔링


     o 스토리텔링 : 알기 쉽고, 재미있고, 감동을 주는


        * 문화의 대중화,


        * 문화 예술의 2중주 ( 1단계 : 원전 해독 및 연구 -학자의 몫   2단계 : 원전에 의한 이야기 재미있게 만들기 -  작가, 예술가의 몫 )

         * 상품에도 스토리가 담기는데, 도시는 말 할 것도 없다.


      o  과학기술(IT)과  문화와 결합하기


       - 인터넷에서 , 포털 사이트에서 광주, 광주문화 알리기

      (광주 영상 기행 : 글과 사진과 소리가 함께 어우러지는)

      * 프레시안  인문학습원  (전주학교 : 영상기행-전주 느끼기)

    

    마. 광주 시민들이 먼저 문화에 빠지기.


      o 문화에 관심 가지기, 문화와 놀기, 자주 나들이하기

          

       o 시간과 공간 : 역사 알기와 역사 문화 현장 답사  

    바. 문화가 밥 먹여 준다.


      o 문화와 경제의 선순환

        o 문화에 대한 투자는 경제를 살찌운다.


5. 마치면서


     o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30년 후에 광주, 전남은 어떻게 될 것인가?

          -앞으로 광주 전남은 무엇으로 먹고 살 것인가?


          -호남은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호남의 정체성 正體性과 자존심을 어떻게 살릴 것인가?

 

       o  비전을 가지고 준비하자.

        * 미국 대통령은 누구를 모델로 하여 일하고 싶어 하는가?


      o 함께 만들어 나가자.

       - 너무 중구난방, 흩어지면 곤란하다.

         -구심력과 원심력 : 다양성 속에서도 힘을 한 곳으로 합쳐야

         - 기 살리기, 뭉쳐야 산다.


                    - 감사합니다. 


            김세곤 : 수필집<국화처럼 향기롭게> 역사 기행집<남도문화의 향기에 취하여> < 송강문학기행 -전남담양>, 시집 엮음<꽃 ,그리움>  , 블로그 : 다음(DAUM) 포털 “국화처럼 향기롭게”

                                   

 (더 읽으면 좋을 책 )


o 딜리셔스 샌드위치  : 뉴욕, 어떻게  문화도시가 되었나?

 o 컬처 코드 : 문화가 다르면 코드도 다르다.  

 o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 : 창조적 인재만이 살아

     남는다.

 



  ( 참고하면 좋은 인터넷 자료) 



o 경기창조학교  2009. 8.15 오픈  (이어령 명예교장)

 o 프레시안  인문학습원      (전주학교에 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