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종 소합의 죽음을 슬퍼하며 -하서의 칠석부
늘 하서공의 칠석부를 외우더니
칠월 칠석 날에 돌아가고 말았구나.
맑은 마음에 재주 있는 너를
어디 간들 다시 생각나지 않으랴
悼婢蘇合
每誦河西賦 매송하서부
還從七夕歸 환종칠석귀
明心將素質 명심장소질
何處更依依 하처경의의
이 시는 기묘명현 학포 양팽손(1488-1545)의 셋째 아들이요 시문에 뛰어나 목릉성세 선조 임금 때 팔문장가로 알려진 송천 양응정(1519-1581)이 여종 소합의 죽음을 애도하여 지은 시입니다.
소합이 어떤 여종이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양응정은 이 시에 다음과 같이 주를 달아 놓아 그나마 그녀를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그녀는 가사로 서울에서도 이름났으며, 칠석부 七夕賦를 잘 외웠다. 고죽 최경창이 그녀를 극진히 아껴주었는데 나이 열일곱에 칠월칠석날 죽었다.
여기서 칠석부 七夕賦는 하서 김인후(1510-1560)가 1528년 그의 나이 19세 때 성균관에서 칠석날 열린 백일장에 참가하여 장원한 부로, 견우와 직녀의 만남과 이별을 소재로 한 55구에 이르는 장편 노래입니다. 그 당시에 이 노래는 인기가 많아 장안의 기생들이 앞 다투어 읊었다고 하며 , 소설 <김하서 전>에도 칠석부에 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평소에 여종 소합을 아껴준 고죽 최경창(1539-1581)은 양응정의 문인으로서 손곡 이달, 옥봉 백광훈과 함께 삼당시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 특히 기생 홍랑과의 애절한 사랑을 한 풍류객입니다. 여러분들도 ‘묏 버들 가려 꺽어 보내노라 님의 손대. 자시는 창밖에 심어두고 보쇼셔. 밤비에 새 닙 곳 나거든 나인가도 녀기쇼셔.’의 기생 홍랑의 시조를 고등학교 국어시간에 배웠을 것입니다. 고죽은 여인들과 애틋한 사랑을 주고받는 요즘말로 훈남 이었습니다.
이 만시를 읽어 보면 여종 소합은 양응정과 최경창이 술잔을 기울이는 자리에서 자주 칠석부를 읊었나 봅니다. 그런데 애석하게도 그녀가 열일곱의 꽃다운 나이에 칠월칠석날 죽은 것입니다. 말이 씨가 되었을 까요. 애절한 노래 칠석부를 너무나 애창하다 보니 운명이 그녀를 칠석날 죽게 한 것일까요. (한편 양응정과 김인후, 최경창이 함께 만났을 가능성은 연대로 보아 거의 없습니다. 김인후가 서울 생활을 하는 1540년은 최경창은 겨우 두 살임)
아무튼 양응정은 이 시의 1,2구에서는 여종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면서 3,4구에서는 그녀에 대한 그리움을 담고 있습니다.
한편 전라도 화순 출신 양응정은 그보다 나이가 9살 위인 고향 선배 하서 김인후(하서의 고향은 장성임)를 매우 존경하였나 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소설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1569-1618)의 <성옹지소록>에는 이런 글이 실려 있습니다.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는 인품이 매우 높고 학문과 문장이 모두 뛰어나서 스스로 터득함이 있었으나 일찍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하였다.
인묘(仁廟 인종(仁宗))는 동궁(東宮)으로 있을 때에 그를 인재로 여겼으므로 왕위에 오르자 맨 먼저 불러들였는데 그가 서울에 오자 임금이 승하하였다. 그리하여 다시 귀가하였는데 조정에서 누차 불렀으나 벼슬길에 나오지 않았다. 고향에서는 그의 덕에 감화되어 선량해진 자가 매우 많았다.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은 기개가 높기로 당대에 뛰어났는데, 공을 보고는 자신도 모르게 굴복하여 그의 말을 공손하게 받들면서 감히 한 마디도 못하였다. 공의 앞에서 물러 나와서는 반드시 여러 날을 감탄하면서,
“후지(厚之 김인후의 자)는 지금의 안자(顔子)이다.”하였다.
또한 이긍익도 그의 야사 野史 책 <연려실기술>에 허균의 이 글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하서 김인후의 <칠석부> 일부를 여기에 싣습니다.
가을바람 소슬하게 일어나는 이 저녁
궁궐은 우뚝이 둘러서 있는데
은하수 환한 빛을 바라보니
이 좋은 계절이 이름이 났음을 느끼게 되네.
멋진 낭군과 만나볼 기회임을 생각하고
저무는 해에 만날 날을 약속했다오.
구름 치마의 현란함을 헤치고
푸른 용의 꿈틀거림을 타고 가네요.
하늘 나루터 바라보며 몰아가는데
날더러 영교 靈橋를 건너오라 하시니
앞길이 점점 가까워 옴을 기뻐하고
님이 나를 맞이함을 기뻐합니다.
이슬은 엉기어 계수나무 궁전에 빛나고
밤은 맑고 차가워 잠을 이루지 못하면서
신선 같은 옷자락 부여잡고 오락가락 노니니
한 두 마디 말에 온갖 시름이 사라지네요.
(중략)
바라건대 견우와 직녀는
오랫동안 헤어진다 하여 슬퍼하지 마오.
저 하늘 멀리 바라다보며
이 속세에서도 기다리는 사람 있으니
길은 아득하고 아득하여 갈 수도 없는데
그 누가 견우 직녀 만남을 엿볼 수 있으랴
괴이하구나, 배타고 하늘로 간 사람은 누구란 말인가
홀로 물결 거슬러 올라가며 이리저리 바라봐도
끝내 망망하여 알 수가 없으니
내 장차 이야기를 참과 거짓 사이에 두리라.
(2009. 2.5)
'하서 김인후를 기리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서 김인후 답사 - 난산 (0) | 2009.03.05 |
---|---|
하서 김인후 흔적 답사 2 -백화정 (0) | 2009.03.04 |
하서 김인후 흔적을 찾아서 - 장성 맥동마을 (0) | 2009.03.04 |
화표학 ,병든학 -하서의 자전 시 (0) | 2009.02.12 |
하서 김인후와 미암 유희춘의 우정 (0) | 2009.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