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오사화와 김일손 18회
- 김일손의 뛰어난 글솜씨
김세곤 (역사칼럼니스트)
유몽인(1559∽1623)이 지은 『어우야담』과 19세기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책 『기문총화』에는 김일손(1464∽1498)의 뛰어난 글솜씨가 실려 있다.
먼저 『어우야담』을 읽어보자.
김일손은 젊은 시절 재주가 있다는 명성이 자자했다. 무(武)재상이 그를 사위로 삼았는데 김일손은 짐짓 문장에 능하지 못한 척 하며 서재에 있으면서 읽은 것이라고는 오직 「십구사략」 뿐이었다. 김일손은 산사(山寺)에 올라가 공부하면서 장인에게 안부를 묻는 편지를 자주 보냈는데, 다른 말은 전혀 없이 ‘문왕몰 文王 沒 무왕출 武王 出 주공주공 周公周公 소공소공 召公召公 태공태공 太公太公’ 이라 쓰여 있었다.
장인이 편지를 보고 마땅찮아 소매 속에 감추었다. 이때 한 문사(文士)가 있었는데 그는 김일손의 명성을 익히 들었던지라 그 편지를 보고 싶어 했다. 장인이 부끄러워 감추려 하다가 그가 계속 졸라대자 결국 편지를 꺼내 보여 주었다. 그 문사는 편지를 한참동안 읽어보더니, 소스라치게 놀라며 말했다.
“이 사람은 천하의 기재(奇才)입니다. 문왕의 이름은 창(昌)이요, 무왕의 이름은 발(發)입니다. 우리말로 신발 바닥을 창이라 하고, 족(足)을 발이라 합니다. 그러니 ‘문왕 몰 文王 沒 무왕 출 武王 出’은 ‘신발이 닳아 발가락이 나왔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주공의 이름은 단(旦)이요, 소공의 이름은 석(奭)이며 태공의 이름은 망(望)이니, ‘주공주공 周公周公 소공소공 召公召公 태공태공 太公太公’은 ‘아침마다 저녁마다 기다리고 기다린다.’는 뜻입니다.”
장인은 크게 기뻐하고 신발을 사서 보내주었다.
(유몽인 지음, 신익철 외 3인 옮김, 어우야담, 돌베개, 2006, p 252)
다음은 『기문총화』이다. 제목은 ‘장인에게 묘한 편지를 써 보낸 김일손’인데 내용은 『어우야담』과 비슷하다.
탁영 김일손의 자는 계운으로 김해김씨이다. 그는 효자로 이름난 김극일의 손자이다. 어려서부터 이름이 알려지자, 무인(武人)으로 재상이 된 사람이 그를 사위로 삼았다.
김일손은 거짓으로 글재주가 없는 체하고 산사에 가서 글공부를 하였다. 그는 편지를 써서 장인에게 부탁하였다. 그가 보낸 짤막한 편지에는 별다른 말 없이 다음 글뿐이었다.
‘문왕 몰 文王 沒
무왕 출 武王 出
주공주공 周公周公
소공소공 召公召公
태공태공 太公太公’
김일손의 장인은 그 편지를 읽고 기껍지 않아 소매 속에 넣어 두었다. 마침 글을 아는 선비가 그 편지를 한동안 보더니 놀라 떨면서 말하였다.
“이 얼마나 기이합니까? 문왕의 이름은 창(昌)이요, 무왕의 이름은 발(發)입니다. 우리말로 신발 바닥을 창이라 하고, 족을 발이라 합니다. 그러니 이 말 뜻은 ‘신이 떨어져 발이 나왔다 ’는 말입니다.
주공의 이름은 단(旦)이요 소공의 이름은 석(奭)이며 태공의 이름은 망(望)이니, 이 말의 뜻은 ‘아침저녁으로 기다리고 기다린다’는 말입니다.”
김일손의 장인은 그 말을 듣고 매우 기뻐하며 신을 사서 보내주었다.
(김동욱 옮김, 국역 기문총화 상 – 새벽 강가에 해오라기 우는 소리,
아세아문화사, 2008, p 357-360)
그러면 「탁영 선생 연보」를 읽어보자
김일손은 1464년 1월 17일 경상도 청도군 상북면 운계리에서 태어났다. 조부는 절효공(節孝公) 김극일이고 부친은 사헌부 집의 김맹이며 모친은 용인이씨이다. 그는 셋째 아들로, 형 준손과 기손이 있었다.
김일손은 1471년에 용인 외가에 살며 소학을 배웠고 1478년 2월에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이 때 그는 남효온은 성균관에서 만났다. 김일손은 1478년 3월에 충청도 단양에서 단양우씨 참판 우극관의 딸을 부인으로 맞이하였다. 1479년에 김일손은 둘째 형 김기손과 함께 한성부 진사 초시에 합격하였는데 1480년 2월에 치른 예조 복시엔 낙방하였다. 9월에는 밀양에 가서 점필재 김종직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김일손 지음, 김학곤 조동영 옮김, 탁영선생문집, 탁영선생 숭모사업회, 2012, p 687-688)
이를 보면 김일손이 산사에 들어가 공부한 시기는 1480년 2월에서 9월사이로 추측해 볼 수 있다.
'김일손과 무오사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오사화와 김일손 17회- 실록청 당상 이극돈의 상소 (0) | 2023.07.06 |
---|---|
길 위의 역사 3부 - 생육신 순례 (40)김시습, 양양부사 유자한과 교유하다. (0) | 2023.07.04 |
무오사화와 김일손 17회- 실록청 당상 이극돈의 상소 (0) | 2023.07.04 |
무오사화와 김일손 16회- 연산군, 세조의 일을 기록한 사초를 빠짐없이 들이도록 다그치다. (0) | 2023.07.04 |
무오사화와 김일손 15회- 김종직, 도연명의 술주시를 화답한 시를 짓다. (0) | 202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