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나대용과 임진왜란 연표
1556년 7월 29일
나대용, 전남 나주시 문평면 오룡리 472번지에서 출생
(본관 금성錦城, 자 시망試望, 호 체암 遞菴)
1583년 8월 별시 무과 급제, 훈련원 봉사
1584년-1589년 나대용, 북방에서 6년간 근무
1590년 3월 조선통신사 일본에 파견
1591년
2월 13일 이순신, 전라좌수사에 임명됨
이순신, 나대용을 전선감조출병군관으로 임명
3월 조선통신사 황윤길과 김성일 선조에게 복명.
선조, 부사 김성일(동인)의 의견을 받아들여 전쟁없음으로 결론 냄
1592년
2월 신립과 이일, 지방의 군비 점검
4월 12일 나대용이 건조한 거북선, 화포 시험 발사
4월 13일 임진왜란 발발
4월15일 동래성 무너짐
4월 18일 나대용, 발포가장(임시지휘관)에 임명됨
4월 28일 신립, 탄금대에서 자결
4월30일 선조, 서쪽으로 파천
5월 3일 왜군, 한양 입성
5월7일 제1차 출전 옥포해전
5월7일 합포 해전
5월9일 적진포 해전
5월 29일 제2차 출전 사천 해전, 거북선 첫 출전
6월2일 당포해전
6월5일 당항포 해전
6월7일 율포해전
6월 22일 선조, 의주에 도착
7월 8일 제3차 출전 한산대첩, 이치 승첩
7월 10일 안골포 해전
7월17일 명나라 조승훈, 평양성 전투 패전
9월1일 제4차 출전 부산포 해전
10월 8일 김시민, 진주대첩
1593년
1월 8일 이여송이 이끄는 조명연합군, 평양성 수복
1월 27일 명군, 벽제관 전투 패전
2월 12일 권율, 행주대첩
2월10일-3월 6일 웅포해전
4월 18일 왜군, 한양에서 철수
6월 8일 나대용, 병이나서 본영으로 돌아감
6월 29일 진주성 함락 (김천일, 최경회등 순절)
7월 14일 한산도 두을포로 진영을 옮김
8월 15일 이순신, 삼도수군 통제사에 임명됨
10월1일 선조, 한양에 도착
윤11월 3일 복병장 나대용, 견내량에서 왜군 정찰병 1명을 생포
1594년
3월 4일-3월 5일 제2차 당항포 해전
8월 나대용, 강진현감(종6품)에 임명됨
9월 29일-10월 4일 장문포 수륙 합동 전투
1595 강화교섭기간
1596년
9월 2일 명나라와 일본의 강화교섭 파탄. 도요토미 히데요시 재침을 명령
10월 11일 나대용, 강진현감에서 파직됨
1597년
1월 중순 정유재란 발발
2월 26일 이순신 하옥됨
4월 1일 이순신 백의종군
6월 4일 이순신, 도원율 권율 진영(경남 합천군)에 머무름
7월 16일 원균이 이끄는 조선 수군, 칠천량 해전에서 전몰
8월 3일 이순신 재기용
8월 16일 남원성 함락
9월 7일 명군, 직산 전투 승리
9월 16일 이순신, 명량대첩
1598년
2월 17일 이순신, 고하도에서 완도 고금도로 이진
1598년- 1598. 8 나대용, 금구현령(종5품)
8월 18일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9월 나대용, 능성현령(종4품 조봉대부) 임명
9월20일-11월 18일 순천 왜교성 전투
11월 19일 이순신, 노량해전에서 전사, 나대용 종제 나치용도 전사
1599년
윤 4월 1일 나대용, 능성현령에서 파직
7월 이후 나대용 한효순 군관으로 창선 25척 감조
1600년 9월- 1601년 11월 고성현령(종4품)
1601년 11월 나대용 모친상, 연거푸 부친상
1606년 12월 나대용 상소문 올림 (이운용 치계)
1610년 10월 나대용, 남해현령(종5품)에 임명됨
1611년 6월 나대용 해추선 3척을 건조하자, 광해군은 통정대부(정3품, 당상관)에 가자(加資)함
1611년 11월 나대용, 경기수사 (종2품 가선대부)제수,
1612년 1월 29일 나대용 별세, 나주시 문평면 마전동 선영에 예장(禮葬)
1799년 나주 송재사에 배향
1800년 임병원, 행장 찬술
1975년 1월 체암 나대용장군 기념사업회 발족
1975년 4월 체암 나장군(紀蹟碑) 기적비 건립(이은상이 비문을 지음)
1976년‘체암나대용장군실기’발간
1978년 소충사(昭忠祠) 건립
1984년 소충사 묘정비 세움
1999년 6월 9일 옥포 대우조선소에서 건조한 제8호 잠수함을 ‘나대용함’으로 명명(命名)
2012년 나대용장군 동상, 거북선 모형 조성
매년 4월21일, 과학의 날에 제향
2015년 사단법인 체암 나대용 장군 기념사업회, ‘거북선을 만든 과학자 체암 나대용 장군’ 발간
2022년 11월 18일 임진왜란과 거북선, 나대용 구국정신의 재조명 학술대회 개최 (주최 : 호남사학회·(사)체암나대용장군기념사업회)
2022년 12월 ‘거북선을 만든 과학자 나대용 평전’ 발간
'임진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세곤의 남도역사기행] 순천왜성과 노량 (25)-이순신, 노량해전에서 전사하다. (0) | 2022.12.18 |
---|---|
[김세곤의 세계 문화 기행] 일본 역사기행 (40) 교토의 코무덤 (3) (0) | 2022.12.18 |
[김세곤의 남도 역사기행] 순천 왜성과 노량 (1) (0) | 2022.10.14 |
임진왜란 다시 보기 진실 추구 (0) | 2022.10.08 |
시비지심 - 지지 단야 맹자 (0) | 202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