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여행

[김세곤의 세계 문화 기행] 일본 역사기행(35)-일본에서 본 포정(庖丁)의 무덤

[김세곤의 세계 문화 기행] 일본 역사기행(35)-일본에서 본 포정(庖丁)의 무덤         

  • 기자명 김세곤 여행칼럼니스트/호남역사연구원장 
  •  입력 2022.09.29 04:00
  •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밴드(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블로그(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여행은 때로는 색다른 경험을 하게 한다. 일본 북해도 여행을 했다. 
시코쓰토야 국립공원 노보리베쓰(登別) 지옥 계곡을 구경하고 나서 주차장 앞에서 ‘포정의 무덤(庖丁塚)과 비’을 보았다. 사진을 여러 장 찍으면서 ‘일본은 소나 돼지를 잡는 일을 하는 도축인도 추앙받는구나’라고 생각했다. 포정 대신 백정(白丁)이란 단어가 더 익숙한 조선 시대엔 백정을  추앙하는 비는 없었다.    

시스코야 국립공원. 사진=김세곤 제공

 

노보리베쓰(登別) 지옥 계곡. 사진=김세곤 제공

포정해우(庖丁解牛)란 고사성어도 생각났다. ‘장자(莊子)’의 ‘양생주편(養生主篇)’에 나온다. 중국 전국 시대에 포정(庖丁)이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았다. 그는 신기(神技)에 가까운 솜씨로 소의 뼈와 살을 발라냈다. 문혜군이 감탄하여 어찌하면 이런 경지에 이를 수가 있느냐고 물었다. 포정은 칼을 내려놓고 대답했다. 

포정 총. 사진=김세곤 제공

“저는 도(道)를 좋아합니다. 기술보다 앞서는 것이지요.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소만 보여 손을 댈 수 없었습니다. 3년이 지나자 비로소 소의 몸뚱이가 눈에 보이지 않게 됐습니다. 이제 저는 소를 잡을 때 영혼이 인도하는 대로 움직입니다. 눈의 작용이 멎으니 정신의 자연스런 작용만 남습니다. (중략) 보통 소잡이는 한 달에 한 번씩 칼을 바꿉니다. 뼈를 자르기 때문입니다. 솜씨 훌륭한 백정은 1년에 한 번씩 칼을 바꿉니다. 힘줄과 살을 자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 칼은 19년이 지났는데도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근육과 뼈가 엉긴 곳에 이를 때마다 저는 그 일의 어려움을 알고 두려워하여 경계하며 천천히 손을 움직여서 칼의 움직임을 아주 미묘하게 합니다."

문혜군은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養生)의 도를 터득했다며 감탄했다. 이처럼 어느 분야에 신기에 가까운 솜씨를 '포정해우'라 한다. 

그런데 일본 여행을 마치고 집에서 포정총 사진을 자세히 살펴보니 포정이 소나 돼지를 잡는 도축인이 아니다. 

‘포정총’이라고 적힌 곳 오른편에는 ‘어조채공양지비(漁鳥菜供養之碑)’라고 적혀있고, 별도로 비문(碑文)이 있다. ‘어조채공양지비(漁鳥菜供養之碑)’란 ‘생선과 새 그리고 채소를 공양으로 바치는 비’라는 의미이다. 

비문도 더듬더듬 읽었다. 

 

“포정은 고래(古來)로 식물(食物)을 분배하고 조리하는 요리인으로서, 생선이나 새를 해체하는 칼에는 신비한 힘이 들어있다. 특히 포정은 섬세하고 다채로운 미각을 가진 일본요리의 창조를 지금에 전하는 선구자였다. 이에 포정의 혼을 숭경(崇敬)하기 위하여 포정총에 어조채(漁鳥菜)를 공양(供養)한다. 노보리 베쓰 온천 조리사회(調理師會)가 이 비를 세우다.”  

포정총 비문. 사진=김세곤 제공

그런데 아무리 보아도 비문엔 ‘육(肉)’이라는 단어가 안 적혀있다. 왜 그럴까? 이는 675년에 덴무(天武) 천황이 살생과 육식금지령을 선포해 1200년 동안 소나 말 등을 안 먹었기 때문이다. 일본은 불교국가라는 종교적인 이유와 함께 소는 농업에, 말은 군사용으로 필요했기에 육식을 금지한 것이다.   

하지만 1868년의 메이지(明治)유신으로 요리 혁명이 일어났다. 일본 정부는 왜소(矮小)한 일본인의 체력향상을 위해 1871년 12월에 ‘육식해금령(肉食解禁令)’을 내렸고, 1872년 1월 24일에는 메이지 천황이 직접 대신들과 함께 소고기를 먹었다. 

이로부터 한 달쯤 되는 2월 18일에 열 명의 자객이 천황 거처에 난입한 사건이 발생했다. 4명은 현장에서 사망, 1명은 중상, 나머지 5명은 생포됐는데 범행동기가 황당하기 짝이 없다. 천황이 소고기를 먹어 일본정신을 더럽히고 있다는 것이다. 천년의 전통을 일시에 팽개치고 외세에 눌려 육식을 하여 조상을 욕되게 했다는 것이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서양요리는 대세였다. 소고기 전골, 돈가스로 인해 일본 식탁은 더욱 풍성해졌다.   

요컨대, 일본에서 포정(庖丁)이란 중국이나 한국처럼 소나 돼지 같은 육식 동물을 잡는 도축인(屠畜人)이 아니다. 일본어로 포정은 ‘어조채를   요리하는 요리인’이다. 한자가 똑같다고 하여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고려하지 않고 같은 잣대로 해석하다간 큰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김세곤 여행칼럼니스트/호남역사연구원장 news@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