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실록 297권, 편수관 명단
편수관 명단
홍치 12년162) 2월 22일 춘추관(春秋館)에서 교지(敎旨)를 받들어 찬진(撰進)하였다.
전후(前後)의 관직을 아울러 기록한다.
영관사(領館事)
추충 정난 익대 순성 명량 좌리 공신 대광 보국 숭록 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관상감사 거창 부원군(推忠定難翊戴純誠明亮佐理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領經筵弘文館藝文館觀象監事居昌府院君) 신(臣) 신승선(愼承善)
감관사(監館事)
추충 정난 익대 공신 대광 보국 숭록 대부 의정부 좌의정 겸 영경연사 함종 부원군(推忠定難翊戴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咸從府院君) 신(臣) 어세겸(魚世謙)
대광 보국 숭록 대부 의정부 우의정 겸 영경연사(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兼領經筵事)
신(臣) 성준(成俊)
지관사(知館事)
순성 좌리 공신 숭정 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지경연사 광원군(純誠佐理功臣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知經筵事廣原君) 신(臣) 이극돈(李克墩)
숭정 대부 의정부 우찬성(崇政大夫議政府右贊成) 신(臣) 박건(朴楗)
정헌 대부 지중추부사 겸 예문관 제학(正憲大夫知中樞府事兼藝文館提學) 신(臣) 유순(柳洵)
정헌 대부 의정부 좌참찬 겸 지의금부사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지성균관사 동지경연사(正憲大夫議政府左參贊兼知義禁府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同知經筵事) 신(臣) 홍귀달(洪貴達)
정헌 대부 의정부 우참찬 겸 홍문관 제학 오위 도총부 도총관(正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弘文館提學五衛都摠府都摠管) 신(臣) 노공필(盧公弼)
자헌 대부 의정부 우참찬 겸 지의금부사(資憲大夫議政府右參贊知義禁府事) 신(臣) 윤효손(尹孝孫)
동지관사(同知館事)
추충 정난 익대 공신 가정 대부 공조 참판 겸 오위 도총부 부총관 한평군(推忠定難翊戴功臣嘉靖大夫工曹參判兼五衛都摠府副摠管漢平君) 신(臣) 조익정(趙益貞)
가정 대부 예조 참판(嘉靖大夫禮曹參判) 신(臣) 김수동(金壽童)
가선 대부 병조 참판(嘉善大夫兵曹參判) 신(臣) 이육(李陸)
가선 대부 병조 참판(嘉善大夫兵曹參判) 신(臣) 권건(權健)
가선 대부 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 신(臣) 김극검(金克儉)
가선 대부 예조 참판 겸 예문관 제학(嘉善大夫禮曹參判兼藝文館提學) 신(臣) 신종호(申從濩)
가선 대부 한성부 좌윤(嘉善大夫漢城府左尹) 신(臣) 김제신(金悌臣)
가선 대부 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 신(臣) 허침(許琛)
가선 대부 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 신(臣) 안침(安琛)
편수관(編修官)
통훈 대부 홍문관 직제학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예문관 응교(通訓大夫弘文館直提學知製敎兼經筵侍講官藝文館應敎) 신(臣) 표연말(表沿沫)
통훈 대부 홍문관 직제학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通訓大夫弘文館直提學知製敎兼經筵侍講官) 신(臣) 권주(權柱)
통훈 대부 홍문관 직제학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通訓大夫弘文館直提學知製敎兼經筵侍講官) 신(臣) 윤희손(尹喜孫)
통훈 대부 종부시 정 지제교(通訓大夫宗簿寺正知製敎) 신(臣) 이균(李均)
통훈 대부 장악원 정 지제교 겸 승문원 참교 한학 교수(通訓大夫掌樂院正知製敎兼承文院參校漢學敎授) 신(臣) 이거(李琚)
통훈 대부 장악원 정(通訓大夫掌樂院正) 신(臣) 강경서(姜景敍)
중직 대부 수 홍문관 직제학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승문원 참교(中直大夫守弘文館直提學知製敎兼經筵侍講官承文院參校) 신(臣) 이승건(李承健)
중직 대부 수 상의원 정(中直大夫守尙衣院正) 신(臣) 양희지(楊熙止)
봉정 대부 수 종부시 정 지제교(奉正大夫守宗簿寺正知製敎) 신(臣) 이달선(李達善)
통훈 대부 행 사헌부 집의(通訓大夫行司憲府執義) 신(臣) 이유청(李惟淸)
중직 대부 사헌부 집의(中直大夫司憲府執義) 신(臣) 이의무(李宜茂)
중직 대부 홍문과 전한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中直大夫弘文館典翰知製敎兼經筵侍講官) 신(臣) 김봉(金崶)
봉정 대부 수 홍문관 전한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예문관 응교(奉正大夫守弘文館典翰知製敎兼經筵侍講官藝文館應敎) 신(臣) 김전(金詮)
봉정 대부 수 성균관 사성(奉正大夫守成均館司成) 신(臣) 이수공(李守恭)
봉렬 대부 수 성균관 사성(奉列大夫守成均館司成) 신(臣) 안당(安瑭)
통훈 대부 행 종친부 전첨(通訓大夫行宗親府典籤) 신(臣) 이계복(李繼福)
중훈 대부 행 의정부 사인(中訓大夫行議政府舍人) 신(臣) 이세영(李世英)
봉정 대부 의정부 사인 겸 승문원 교감(奉正大夫議政府舍人兼承文院校勘) 신(臣) 장순손(張順孫)
봉정 대부 의정부 사인 지제교 겸 승문원 교감(奉正大夫議政府舍人知製敎兼承文院校勘) 신(臣) 남궁찬(南宮璨)
봉정 대부 행 승문원 교감 지제교 겸 교서관 교리(奉正大夫行承文院校勘知製敎兼校書館校理) 신(臣) 박열(朴說)
봉렬 대부 행 군기시 첨정(奉列大夫行軍器寺僉正) 신(臣) 손번(孫蕃)
조산 대부 승문원 교감(朝散大夫承文院校勘) 신(臣) 허집(許輯)
조봉 대부 수 홍문관 응교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예문관 응교(朝奉大夫守弘文館應敎知製敎兼經筵侍講官藝文館應敎) 신(臣) 남세주(南世周)
조봉 대부 홍문관 부응교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예문관 응교 교서관 교리(朝奉大夫弘文館副應敎知製敎兼經筵侍講官藝文館應敎校書館校理) 신(臣) 최부(崔溥)
조봉 대부 사섬시 첨정(朝奉大夫司贍寺僉正) 신(臣) 남세담(南世聃)
조봉 대부 군기시 첨정(朝奉大夫軍器寺僉正) 신(臣) 김삼준(金三俊)
통덕랑 통례원 봉례 지제교(通德郞通禮院奉禮知製敎) 신(臣) 이의손(李懿孫)
기주관(記注官)
조봉 대부 행 공조 정랑(朝奉大夫行工曹正郞) 신(臣) 이전(李㙉)
조봉 대부 행 홍문관 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朝奉大夫行弘文館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 신(臣) 유순정(柳順汀)
통선랑 병조 정랑 겸 승문원 교리(通善郞兵曹正郞兼承文院校理) 신(臣) 임유겸(任由謙)
통덕랑 홍문관 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 승문원 교리(通德郞弘文館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承文院校理) 신(臣) 정광필(鄭光弼)
통선랑 행 홍문관 부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 승문원 교리(通善郞行弘文館副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承文院校理) 신(臣) 이과(李顆)
봉직랑 수 병조 정랑 지제교(奉直郞守兵曹正郞知製敎) 신(臣) 김감(金勘)
봉직랑 수 예조 정랑 겸 승문원 교리(奉直郞守禮曹正郞兼承文院校理) 신(臣) 성세정(成世貞)
봉렬 대부 행 홍문관 부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奉列大夫行弘文館副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 신(臣) 이효문(李孝文)
봉훈랑 홍문관 부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奉訓郞弘文館副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 신(臣) 손주(孫澍)
조봉 대부 행 총익부 도사(朝奉大夫行忠翊府都事) 신(臣) 권균(權鈞)
기사관(記事官)
통선랑 행 이조 좌랑 지제교(通善郞行吏曹佐郞知製敎) 신(臣) 김천령(金千齡)
봉직랑 행 사헌부 감찰(奉直郞行司憲府監察) 신(臣) 이효돈(李孝敦)
봉훈랑 행 예조 좌랑(奉訓郞行禮曹佐郞) 신(臣) 유희저(柳希渚)
봉훈랑 행 홍문관 수찬 지제교 겸 경연 검토관(奉訓郞行弘文館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 신(臣) 권달수(權達手)
선교랑 수 공조 좌랑(宣敎郞守工曹佐郞) 신(臣) 기저(奇褚)
선교랑 수 성균관 전적(宣敎郞守成均館典籍) 신(臣) 권민수(權敏手)
선교랑 수 승문원 교검(宣敎郞守承文院校檢) 신(臣) 윤은보(尹殷輔)
선교랑 수 성균관 전적(宣敎郞守成均館典籍) 신(臣) 조치우(曺致虞)
승훈랑 행 홍문관 부수찬 지제교 겸 경연 검토관(承訓郞行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 신(臣) 송흠(宋欽)
승훈랑 행 홍문관 부수찬 지제교 겸 경연 검토관(承訓郞行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 신(臣) 이유녕(李幼寧)
선교랑 홍문관 부수찬 지제교 겸 경연 검토관(宣敎郞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 신(臣) 남곤(南袞)
선무랑 홍문관 부수찬 지제교 겸 경연 검토관(宣務郞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 신(臣) 이관(李寬)
병절 교위 충좌위 부사과(秉節校尉忠佐衛副司果) 신(臣) 신세연(辛世璉)
선무랑 행 예문관 봉교(宣務郞行藝文館奉敎) 신(臣) 신징(申澄)
승훈랑 행 예문관 봉교(承訓郞行藝文館奉敎) 신(臣) 강덕유(姜德裕)
선교랑 행 예문관 봉교(宣敎郞行藝文館奉敎) 신(臣) 정승조(鄭承祖)
승훈랑 행 예문관 봉교(承訓郞行藝文館奉敎) 신(臣) 이희순(李希舜)
선무랑 행 예문관 봉교(宣務郞行藝文館奉敎) 신(臣) 한세환(韓世桓)
통선랑 행 승문원 박사(通善郞行承文院博士) 신(臣) 심순문(沈順門)
선무랑 행 홍문관 박사 겸 경연 사경(宣務郞行弘文館博士兼經筵司經) 신(臣) 성중엄(成重淹)
선무랑 행 예문관 봉교(宣務郞行藝文館奉敎) 신(臣) 정희량(鄭希良)
선무랑 행 예문관 봉교(宣務郞行藝文館奉敎) 신(臣) 권오기(權五紀)
무공랑 예문관 봉교(務功郞藝文館奉敎) 신(臣) 성희철(成希哲)
무공랑 예문관 봉교(務功郞藝文館奉敎) 신(臣) 이행(李荇)
무공랑 예문관 대교(務功郞藝文館待敎) 신(臣) 강징(姜澂)
무공랑 행 예문관 대교(務功郞行藝文館待敎) 신(臣) 고세창(高世昌)
승훈랑 행 예문관 대교(承訓郞行藝文館待敎) 신(臣) 김언(金?)
선교랑 행 예문관 대교(宣敎郞行藝文館待敎) 신(臣) 성윤조(成允祖)
무공랑 행 홍문관 정자 겸 경연 전경(務功郞行弘文館正字兼經筵典經) 신(臣) 이자(李滋)
무공랑 행 예문관 검열(務功郞行藝文館檢閱) 신(臣) 신공제(申公濟)
선교랑 행 예문관 검열(宣敎郞行藝文館檢閱) 신(臣) 김관(金寬)
선무랑 행 홍문관 정자 겸 경연 전경(宣務郞行弘文館正字兼經筵典經) 신(臣) 김세필(金世弼)
계공랑 행 예문관 검열(啓功郞行藝文館檢閱) 신(臣) 이사공(李思恭)
통사랑 행 예문관 검열(通仕郞行藝文館檢閱) 신(臣) 문근(文瑾)
계공랑 행 예문관 검열(啓功郞行藝文館檢閱) 신(臣) 하계증(河繼曾)
종사랑 예문관 검열(從仕郞藝文館檢閱) 신(臣) 서후(徐厚)
계공랑 행 교서관 부정자(啓功郞行校書館副正字) 신(臣) 김숭조(金崇祖)
- 【태백산사고본】 47책 297권 1장 A면【국편영인본】 12책 619면
- 【분류】
역사-편사(編史)
- [註 162]
홍치 12년 : 1499 연산군 5년.
'사관 김일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일손 1498년 7월5일 함양에서 체포되다. (0) | 2017.01.01 |
---|---|
연산군의 전횡, 실록을 보는 것이 부당하다고 한 홍문관 예문관 관리를 국문하다. (0) | 2016.12.09 |
1498.7.12 무풍정 이총에 대한 공초 내용, 무오사화 (0) | 2016.12.05 |
김일손에 대한 첫 공초 1498.7.12 김세곤 (0) | 2016.12.05 |
탁영 김일손 묘소, 경북 청도군 , 김세곤 (0) | 2016.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