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르는 강물처럼
파울로 코엘료
그의 책을 읽으면서 참 간결하면서도 느낌이 오는 글임을 느끼다. 그리고 여러 분야에서
성찰과 공부를 하였음을 느낀다. 특히 그의 글 중 마지막 기도문은 압권이다.
법구경
의미없는 천 마디의 말보다 마음에 평화를 부르는 한 마디 말이기를.
현란한 천 편의 시보다 영혼의 잠을 깨우는 단 한 줄의 시이기를.
귓가를 스쳐가는 천 곡의 노래보다 심금을 울리는 한 곡의 노래이기를.
빛나는 삶으로 이끄는 101가지 지혜의 샘
긴 세월 먼 길을 돌아 서른여덟 살에 작가의 꿈을 이룬 파울로 코엘료.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말처럼 ‘신발을 바꾸는 것보다 더 많이 나라를 바꿔가며’ 그는 세계 각국을 돌아다닌다. 그 여정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그 만남들에서 영감을 얻고, 그 영감으로 소설을 쓴다. 『흐르는 강물처럼』은 그 길 위에 남은 자취이자, 파울로 코엘료 작품들의 원류와도 같은 ‘영감의 샘’이다. 이 책에는 세계 각국의 신화와 종교를 두루 섭렵한 작가가 인간 영혼 깊은 곳에서 건져올린 아름다운 우화, 작가 자신의 일상과 코엘료 문학의 비밀을 엿볼 수 있는 열쇠 같은 글들, 그리고 길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감동적인 일화들이 담겨 있다.
『흐르는 강물처럼』을 관통하는 것은 ‘인간으로 태어나 두 발을 땅에 디디고 살아 있음’의 의미를 묻는 질문이다. 언젠가 그는 소설 속 인물의 입을 빌려 ‘한 인간의 역사는 전 인류의 역사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그가 이 책에 담긴 101편의 글을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그런 것일 터이다. 코엘료 자신의 이야기와 그가 만난 이들의 이야기는 ‘우리’라는 평범한 사람들이 겪는 희로애락과 다를 바 없다는 것, 이것은 우리 모두의 이야기라는 것. 그 101가지 이야기를 들려주며 코엘료는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당신에게 인생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우리가 스스로에게 답하기를 요구한다. 그것이 ‘자아의 신화’를 살기 위해 거쳐야 할 첫 걸음이므로.
이미 작가라는 ‘자아의 신화’를 살고 있는 파울로 코엘료가 일상에서 건져올린 지혜와 예술의 경지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방법, 그리고 무엇보다 어떻게 이 세상에서 연대하여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따뜻하고 가슴 뭉클한 이야기들이 독자들을 기다리고 있다.
'책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다산 칼럼 (0) | 2009.08.17 |
---|---|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 남는다. - 이시형 (0) | 2009.08.12 |
치유 -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라. (0) | 2008.11.21 |
1년만 미쳐라 (0) | 2008.11.12 |
무지개 원리 -차동엽 (0) | 2008.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