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처럼 힘들 때는 마음을 추스려야 한다. 소위 스스로를 치유 하여야 한다. 그리고 나를 스스로 사랑하는 연습을 자주 하여야 한다. 이 원고는 실업자들에게 한 시간 강의하기 위한 원고 입니다. 강의가 필요하신 분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다시 일어서는 삶
I. 들어가면서
질문 3 가지
1) 나는 기운이 없고 우울하다
2) 나는 별 이유 없이 피곤하다
3) 나는 평소보다 신경이 날카롭다.
항상 그렇다 3점 , 가끔 그렇다 2점. 그렇지 않다 1점.
II. 상처 그리고 치유
가. 상처 - 실업 이후의 징후
1. 왜 하필 내가 이런 일을 당하여야 하나.
2. 너무 화나는 일이 많다.
3. 세상이 원망스럽다. 세상에 불만이 쌓인다.
4. 고독해 진다. 가족과도 대화를 안 한다.
5. 사람 만나기가 싫다.
6. 아내에게 미안하다. 아이들 보기가 민망하다.
7. 나에게는 즐거운 일이 없다.
8. 자신감이 없다. 되는 일이 없다.
9. 사는 것이 절망적이다.
나. 치유 : 시간이 걸리는 치료.
o 절망을 치유하는 가장 좋은 치료제는 “시간”이다.
-시간이 지나면 냉정하여 진다.
o 실업을 당하면 1. 충격 및 부정 2 분노 3 절망 4. 수용 및 이해
단계를 거친다고 한다. 이런 단계는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o 냉정한 자기 진단이 필요하다
나를 다시 한 번 발견하라. 그리고 마음을 다스리자.
III. 다시 일어서기
가. 자신을 사랑하기
-당신이 가치 있는 존재임을 깨닫고, 자신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사랑하라
- 과거는 지나간 것이다. 현재의 자신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서 자신을 사랑한다.
- 자신을 사랑하려면 자신을 스스로 비난하는 것을 멈추어야 한다.
- 난 멋져,
나는 너를 사랑해
이런 말을 최면 걸리도록 자주 자신에게 하라.
나. 나의 강점 찾기
o 누구에게나 잘 하는 것 한 가지는 있다.
나의 강점을 찾아보기. 99개는 못하여도 1개는 잘 한다.
그 하나를 찾기.
o 영국 , 미국 학교의 학생 교수법
- 잘 한 것을 칭찬한다. - 잘 한 것을 격려한다.
o 남과 나를 비교하는 일 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다.
다. 긍정적으로 살아가기
o 모든 것은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 자신을 열등하고 무능하다고 생각하지 말라. 자신을 긍정적으로 자신감 있게 만들어라. 햄릿 같은 비관형이 되기보다는 동키호테 같은 낙관형이 되라.
“ 나는 매사가 이 모양이야. 나는 희망이 없어.
나는 되는 일이 하나도 없어. “ -비관형 : 자신에 대한 믿음이 없음.
“ 이 일은 잘 안 풀리는 군. 이번일은 상황이 별로 좋지 않았어.
기회는 많아. 다시 시작하는 거야. “ -낙관형 : 자신을 믿음
o 나를 사랑하고 나를 믿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긍정이요
낙관이다. 나로부터 비롯되는 신뢰. 믿음. 자기 존중
o 부정적으로 사는 삶에서 벗어나기
물이 반 컵 있다. 어떻게 표현하나?
1) 물이 반 밖에 없네.
2) 물이 반이나 있네.
낙관과 비관
긍정과 부정 : 암으로 죽은 강권석 전 기업은행장이 직원에게 보낸 마지막 메일 “
“ 긍정적 사고는 사람을 활기차고 의욕적으로 만들지만 부정적 사고는 자기 자신을 쇠약하게 하고 매사를 어렵게 만듭니다.”
긍정적, 낙관적으로 사는 것도 연습이다. 혹독한 훈련과 연습을 통하여 바로 설 수 있다.
라. 목표 세우기 -목표가 있는 삶
1) 목표 - 삶의 이정표
인생에 목표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차이
우리는 꿈을 먹고 산다. 꿈과 희망이 없다면...
목표를 세우면 목표가 나를 이끈다.
새우잠을 자더라도 고래 꿈을 꾸어라
10년 뒤에 내가 무엇이 되어 있을까를 지금 항상 생각하라.
꿈은 바로 목표이다. 꿈은 이루어진다.
Dreams come true ( 꿈 + 이루어진다.)
2) 꿈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 84 : 13 : 3%)
책 : 브라이언 트레이시 저, <목표 , 그 성취의 기술>
1979년부터 1989년까지 하버드 MBA 과정 졸업생을 대상으로 목표설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1979년, 졸업생중 3%는 자신의 목표와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 기록해 놓았다. 13%는 목표가 있기는 했지만 기록하지는 않았다. 10년 후, 목표가 있었던 13%는 목표가 없었던 84%의 졸업생들보다도 평균 2배의 수입을 올리고 있었다. 한편, 뚜렷한 목표를 기록해 두었던 3%는 나머지 97%보다 무려 10배의 수입을 올리고 있었다.
3) ‘꿈 만들기 작성’의 원칙 SMART
o 구체적이고 명확하여야 Specific
o 측정 가능하게 Measurable
o 행동 중심적으로 Action oriented
o 실현 가능하여야 Realistic
o 기한을 정하라 Time limited
* 목표는 현재형으로 , 긍정문으로,
1인칭으로 적어라
* 쓰면 이루어진다.
- 목표를 글로 써서 눈에 볼 수 있는 곳에
붙여라 (가시화)
* 목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라. 평가하라. - 실제로는 목표가 제대로 실행 안 된다. 그러므로 평가를 통하여 채찍질 하라.
IV. 영국 슬라우 마을 “행복 헌장” 10계명
( BBC 방송)
1. 운동을 하라. 일주일에 3회, 1회에 30분이면 충분하다
2. 기분 좋았던 일을 떠 올려라. 하루를 마무리 할 때 마다
당신이 감사해야 할 일 다섯 가지를 생각하라.
3. 대화를 나누라. 매주에 적어도 한 시간은 배우자나 가장 친한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라.
4. 식물을 가꾸라. 아주 작은 화분도 좋다. 죽이지만 말아라.
5. TV 시청 시간을 반으로 줄여라. 단, 즐거운 활동을 미리 준비하여 두어야 한다,
6. 미소를 지으라. 적어도 하루에 한번은 낯선 사람에게 미소를 짓거나 인사를 먼저 하라.
7. 친구에게 전화하라. 오랫동안 소원했던 친구나 지인들에게 연락하여 만날 약속을 하라.
8. 하루에 한번 유쾌하게 웃어라
9. 매일 자신에게 작은 선물을 하라. 그리고 그 선물을 즐기는 시간을 가져라
10. 매일 누군가에게 친절을 베풀라.
V. 마치면서
그래도 계속 가라 . 삶은 사는 게 아니라 살아내야 하는 것이다. 아무리 힘들더라도 고통스러워도 그래도 계속 가야 하는 것, 그게 우리네 삶이다.
질문 3가지
1) 나는 사는 것이 즐겁다.
2) 나는 나를 사랑한다.
3) 나의 삶은 희망이 있다.
'마음 수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소자에 대한 마음 치료 -설레임과 두려움 (0) | 2009.08.13 |
---|---|
광풍제월, 정관물아 (0) | 2009.03.16 |
봉사의 기쁨 (0) | 2008.09.12 |
논어의 세계 (0) | 2008.07.15 |
힘든 시기에는? (0) | 2008.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