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도 기행

목포 문학관 소견

 

목포문학관 소견


                             

                            김세곤 (노동부 부이사관)




작년 12월 초에 목포투데이가 주관하는 ‘문화예술 CEO 대학’ 강의를 하기 위하여 오랜만에  목포를 방문하였다.  오후에 조금 시간 여유가 있어서 목포문학관을 찾았다. 갓 개관한 목포문학관이 갓바위 근처라고는 알고 있었으나 한 번에 찾기가 어려웠다. 안내 표지가 잘 안되어 있어서 국립해양유물전시관 앞 매점에서 위치를 물어 보아야 했다.


 목포 문학관은 상당히 잘 만들어져 있었다. 건물 모양도 아름답고 목포 앞바다를 내려다보고 있어 경관이 좋았다. 목포를 빛낸 문학인 박화성, 차범석 그리고 김우진의 내부 전시관  역시 잘 되어 있었다. 각 전시관 안에는 TV로  이 분들의  문학세계에 대한 설명도 있고, 사진과 포스터도 있으며 육필 원고도 볼 수 있었다. 특히 박화성 관에는 평소 글을 쓰던 서재와 병풍, 소품도  있어서 아주 인상적이었다.


 다만 2층에 있는 김우진 관을 구경하면서 김우진과 윤심덕에 대한 에피소드를 찾아볼 수 없는 점은 아쉬웠다. 솔직히 나는 이곳에서  일제시대에 ‘사의 찬미’ 노래로 유명한 소프라노 가수 윤심덕과  희곡작가이며 목포 갑부인 김우진의  비련(悲戀)의 흔적들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큰 기대를 하였는데 이 부분이 전혀 없어 너무나 아쉽다. 


 전체적으로 보면 목포문학관은 정말 잘 만들어져 있다. 앞으로 목포문학 발전에 큰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 가지 더 욕심을 낸다면  김우진, 박화성, 차범석에 대한 평론이나 전기 그리고 인간적인 면모를 그린 글들도 같이 전시 ․ 판매되었으면 하는 점이다. 몇 달 전에 체코 프라하를 갔을 때  프라하 성의 황금소로에 있는 카프카의 집에서 그의 일대기 책을 한 권 산 적이 있는데, 이 책을 읽어 보니 카프카의 문학세계에 대하여 상당한 이해를 하게 되었다.

    


 문학관을  다 둘러보고 나오는 길에 직원 한분을 만났다. 그 분에게  안내 팜프렛을 한 장 달라고 하였더니 아직 안 만들어져 있단다. 문학관을 소개할 팜프렛이 없다니. 잘 만들려고 준비하고 있는 것이라고  이해를 한다. 그러면 이왕이면 외국관광객을 위한 영어, 일어, 중국어 안내 팜프렛도 별도로 만들어 주시길 부탁드린다.  남도문화도 이제 세계화에 대비하여야 한다.


 덧 붙여서 나는  직원에게  문학관에 세 분 작가들에 대한 책이나 기념품 판매점이 있는지를 물었다. 답변은 판매점이 없다는 것이었다.  관광객이 관광만 하고 돈을 안 쓰면 지역경제에 무슨 도움이 될까?   목포를 빛낸 작가들의 작품 판매는 필요한 것 아닌가? 여건이 어렵다면 자판기 책 판매대라도 하나 마련해야 하는 것 아닌가?

 

 금년은  광주 ․ 전남 방문의 해이다. 한 사람이라도 더 많은 관광객이 이 지역을 방문하고 , 한번 온 관광객이 다시 찾아 올 수 있도록 하려면 작은 일 하나하나라도  꼼꼼하게 챙기는 현장성이 필요하다. 


                                            ( 2008. 1.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