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곤의 반(反)부패 칼럼] 목민심서 톺아보기 (2)-제1부 부임
- 기자명 김세곤 역사칼럼니스트/청렴연수원 등록 청렴 전문강사
- 입력 2024.12.02 09:19

조선 시대의 수령은 지방의 행정, 사법, 재정, 군사 등 거의 모든 분야를 임금을 대신하여 관장하였다. 다만 지방이라는 공간적 한계와 임기가 제한(보통 3년)된 시간적 한계를 지녔을 뿐이다.
수령은 목민관(牧民官)이라 불렀는데, ‘목민’은 백성을 부양한다는 뜻이다.
다산 정약용(1762∼1836)이 1818년에 지은 『목민심서』는 수령의 지방 행정지침서 즉 목민관의 직무와 몸가짐에 대한 책인데 모두 12부이다.
1부 부임, 2부 율기, 3부 봉공, 4부 애민, 5부에서 10부는 6전, 즉 이·호·예·병·형·공전이며, 11부는 진황, 12부는 해관이다. 각 부에는 각 6조로 되어 있어 모두 72개 조이었다.
그러면 1부 부임(赴任) 6조를 살펴보자. 제1부 부임은 수령이 고을에 부임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열거한 내용이다.
수령은 한 고을의 주인으로 한 지방의 백성과 사직(社稷)을 맡은 만큼 규모의 대소는 다를망정 그 책무의 중요함은 임금과 다를 것이 없다고 강조하고, 임명에서부터 취임하여 집무할 때까지의 필요한 사항을 6조로 나누어 논하고 있다.
부임 6조는 1. 제배(除拜) 2. 치장(治裝) 3. 사조(辭朝) 4. 계행(啓行)
5. 상관(上官) 6. 이사(莅事)이다.
1. 제배(除拜 임명을 받음) : 제배란 수령에 임명됨을 말한다. 수령은 한 고을의 백성과 사직의 중책을 맡았으므로 함부로 구해서는 안 된다는 것과, 임명 초에 재물을 쓰는 일, 부임 행차 때에 비용을 줄여서 백성의 고통을 덜어주는 일에 대해 사례를 들어 논하고 있다.
“다른 벼슬은 구해도 좋으나 목민의 벼슬은 구해서는 안 된다.”
2. 치장(治裝 부임하는 행장 꾸리기) : 치장이란 부임할 때의 행장 차리는 것을 말한다. 의복과 말안장 등은 새로 마련할 것이 아니라 예전 것을 그대로 쓰는 일, 동행자를 많이 데리고 감으로써 야기되는 폐단, 책이나 필수용품 외에는 행장을 간편하게 가지고 가는 일 등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 기술하고 있다.
즉 청렴하고 검소하게 행장을 꾸려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행장을 꾸릴 때 의복과 말 안장은 본래 있는 그대로 써야 하고 새로 마련해서는 안 된다.”
“ 이부자리와 베개, 솜옷 외에 책을 한 수레 싣고 간다면 맑은 선비의 행장이 될 것이다.”
3. 사조(辭朝 조정에 하직하기) : 사조란 수령에 임명된 자가 임금께 하직 인사를 드리는 것을 말한다. 사헌부와 사간원의 자격 심사인 서경(署經)이 끝난 다음, 임금ㆍ재상ㆍ대관(臺官)ㆍ전관(銓官) 등에게 하직 인사를 할 때 주의해야 할 일과, 신영(新迎) 나온 아전이나 하인들을 대하는 일, 수령으로서 국가의 은혜와 백성의 기대에 부응하는 마음가짐에 대한 일들을 사례를 들어 논하고 있다.
4. 계행(啓行 부임 행차) : 계행이란 부임 길을 떠나는 것을 말한다. 부임 길에서 지켜야 할 체모, 미신에 현혹되지 않아야 하는 일, 지나는 관부(官府)의 선배 수령에게 치도(治道)룰 강구하는 일, 부임 전 하룻밤은 반드시 이웃 고을에서 자야 하는 일 등을 논하고 있다.
“부임하는 길에는 오직 엄하고 온화하며 과묵하기를 마치 말 못하는 사람처럼 해야 한다.”
5. 상관(上官 취임) : 상관이란 관리가 임지에 도임(취임)함을 말한다. 도임 날을 가리는 일, 취임하여 관속(官屬)들의 인사를 받는 절차, 치민(治民)하는 방도를 연구하는 일, 부임 다음 날 향교(鄕校)와 사직단(社稷壇)에 참배(參拜)하는 절차 등을 논하고 있다.
6. 이사(莅事 업무를 시작함) : 이사란 수령이 부임하여 실무를 보는 것을 말한다. 부임 이튿날 정사에 임하는 자세, 사족(士族)과 서민들에게 의견을 구하는 일, 소장(訴狀) 처리하는 요령, 백성들에게 명령 전하는 일, 관무일지를 만들어 업무를 점검하는 요령, 관내도(管內圖) 작성, 인장(印章)이나 수결(手決) 등의 관리 등에 대한 문제를 논하고 있다.
“취임한 날 사족(士族)과 백성들에게 영을 내려 고질적인 폐단이 무엇인지를 묻고 의견을 구할 것이다.”
'청백리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세곤 칼럼> 조선의 청백리–12회 초가집 정승 오리 이원익 (1) (1) | 2023.03.29 |
---|---|
살아있는 권력의 비리를 척결한 박상 (0) | 2022.06.22 |
[역사이야기] 청백리 기건, 애민(愛民)하다 (0) | 2022.05.29 |
청백리 퇴계 이황 (0) | 2022.05.12 |
‘고양이’ 시와 묘서동처 (猫鼠同處) (0) | 2021.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