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을 다시 본다.
- 1회 임진왜란, 동아시아판 세계대전
김세곤(역사 칼럼니스트, ‘임진왜란과 호남사람들’ 저자)
역사를 기억하지 못하는 자는 다시 한번 그 역사에 얽매이게 된다.
-폴란드 아우슈비츠 수용소 기념관
2022년은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난 지 430년이 되는 해다. 1592년부터 1598년까지 7년간 계속된 전쟁은 한 · 중 · 일이 싸운 ‘동아시아판 세계대전’이었다. 조선왕조는 1392년 건국 이래 큰 외침 없이 2백 년간 태평 시대를 누렸다. 그런데 100년간의 전국(戰國)시대를 끝내고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6~1598)는 1592년 4월 13일에 명나라를 친다는 명목으로 조선을 침략했다.
이는 해양세력의 대륙세력에 대한 최초의 도전이었다. 전쟁 초기에는 일본과 조선의 전쟁이었지만, 1592년 7월부터 명나라가 참전함으로써 임진왜란은 조선·명나라와 일본의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임진왜란은 한때 30만 명이 넘는 대병력이 싸운 유례가 없는 국제전쟁이었다.
그런데 임진왜란을 보는 한·중·일의 시각은 서로 다르다. 전쟁에 대한 명칭부터 각기 다르다. 우리가 오늘날 쓰는 임진왜란(壬辰倭亂)은 ‘임진년에 왜인들이 쳐들어와 일으킨 난동’이라는 의미이고, 정유재란(丁酉再亂)은 ‘정유년에 왜인들이 다시 일으킨 난동’이라는 뜻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은 무고하게 쳐들어와 죽이고 잡아가고 약탈하고 불지르며 국토를 쑥대밭으로 만든 일본에 대한 원한과 적개심이 다분히 반영된 용어이다. 참고로 북한은 임진왜란을 ‘임진조국 전쟁’이라 부른다.
이윽고 일본은 ‘분로쿠게이초노에키’(文祿慶長の役)라 부른다. ‘분로쿠’는 1592년부터 1595년까지, ‘게이초’는 1596년부터 1614년까지 일본 천황이 사용한 연호다. 따라서 ‘문록경장의 역’은 ‘문록경장 시대의 전쟁’이라는 일견 중립적인 용어인데 1910년에 일본이 한국을 강점한 이후부터 사용했다 한다.
일본은 19세기까지는 임진왜란을 ‘조선 정벌’이라 불렀다. ‘조선을 손봐주기 위해 정벌에 나섰다.’는 조선정벌은 조선에 대한 멸시와 우월의식이 짙게 배어 있다. 한편 1868년 메이지유신 이후 정한론이 부각되자 조선을 침략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부활되었고 교토에 풍국신사가 세워졌다. 지금도 일본 오사카성 천수각에는 임진왜란이 영어로 ‘Korean Campaign’이라고 번역되어 있다. 임진왜란을 코리언 캠페인으로 영역한 것은 일본의 조선침략을 은폐하려는 꼼수이다.
한편 중국은 임진왜란을 ‘만력(萬曆)의 역(役)’으로 부른다. 만력은 임진왜란시 명나라 황제의 연호이다. 그런데 중국인들은 ‘항왜원조(降倭援朝)’를 더 선호한다. ‘일본에 대항하여 조선을 도왔다’는 이 용어에는 은연중에 ‘은혜를 잊지 말고 보답해야 한다’는 뉘앙스가 담겨있다.
중국은 1950년에 중공군이 참전했던 6.25 전쟁을 ‘항미원조(降美援朝)’라 부른다. 350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항왜와 항미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일본과 미국의 침략에 대하여 한국을 도왔다는 역사의식이 깊게 깔려 있다. 이는 한국이 중국의 종속국이라는 의식과 한반도에 대한 개입 의지이다.
그래서 어떤 학자는 3국이 ‘동아시아 7년 전쟁’이라는 용어로 통일하자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지만 호응이 별로 없다.
한편 1960년대에 중·고등학교를 다닌 필자는 ‘임진왜란 삼대첩(三大捷) 즉 한산대첩, 진주대첩, 행주대첩’을 공부하면서 민족의 자존심을 배웠다. 더구나 ‘한산대첩, 명량해전, 노량해전’을 통해 이순신에 대한 기억은 ‘성웅(聖雄) 이순신’으로 각인되었고, 지금도 한국인들은 임진왜란을 언급할 때마다 어김없이 이순신과 거북선을 떠올린다.
'임진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왜란 명칭 (0) | 2022.09.05 |
---|---|
임진왜란을 징비(懲毖)하자 (0) | 2022.07.01 |
충무공 이순신과 거북선- 1회 임진왜란, 동아시아판 세계대전 (0) | 2022.06.28 |
임진왜란과 호남사람들 강의 (0) | 2020.10.20 |
[역사이야기] 임진왜란, 예고된 전쟁, 김세곤 (역사칼럼니스트) (0) | 2019.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