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관(史官) 김일손
김세곤 (역사칼럼니스트, 청렴연수원 청렴강사)
1498년 7월 하순에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났다. 7월 1일에 사화는 시작되었다. 이 날 윤필상, 유자광 등이 연산군에게 비사(秘事)를 아뢰었고, 연산군은 김일손(1464∼1498)을 잡아 오라고 전교했다. (연산군일기 1498년 7월 1일)
사관(史官) 김일손의 호는 탁영(濯纓)이다. ‘갓끈을 씻는다.’는 의미인데, 이는 초나라 굴원(BC 343∼278)의 책 ‘초사(楚辭)’의 어부사(漁父辭)에 나온다.
굴원은 초나라 회왕을 도와 정치를 했으나, 간신들의 참소로 호남성 상수로 추방당했다. 쫓겨난 그는 상수 연못가를 거닐다가 한 어부를 만났다. 어부가 굴원에게 ‘무슨 까닭으로 여기까지 왔느냐’고 묻자, 굴원은 ‘온 세상이 모두가 흐려있는데 나 혼자만이 맑고 깨끗하였고, 뭇 사람들 모두가 취해 있는데 나 혼자만 술에 깨어 있다가 이렇게 추방당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 말을 듣고 어부가 굴원에게 “물결 흐르는 대로 살지, 어찌 고고하게 살다가 추방을 당하셨소?”라고 다시 묻자, 굴원은 “차라리 상수 물가로 달려가 물고기 배 속에서 장사(葬事)를 지낼지언정 어찌 순백(純白)으로 세속의 티끌을 뒤집어쓴단 말이오?”라고 답했다.
어부는 빙그레 웃고는 노로 뱃전을 두드리며 떠나가면서 노래를 불렀다.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 끈을 씻으리오. 滄浪之水淸兮 可以濯吾纓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으리오. 滄浪之水濁兮 可以濯吾足
결국 굴원은 울분을 참지 못해 5월 5일에 멱라수(汨羅水)에 몸을 던졌다.
그런데 김일손은 ‘세상이 흐림에도 불구하고 갓끈을 씻겠노라.’고 호를 ‘탁영(濯纓)’이라 지었다. 그는 34년의 짧은 인생을 살았지만 15세기 후반의 현실을 냉정하게 인식했고 추호의 망설임 없이 직필(直筆)로 역사투쟁에 나선 사관이었다. 그리하여 세조의 왕위 찬탈과 비행, 단종애사(端宗哀史) 그리고 훈구파의 부패와 탐욕을 ‘성종실록’ 사초에 기록했다.
1490년 4월에 김일손은 생육신 남효온(1454∽492)이 집필한 성삼문 등 사육신의 충절을 기리는 ‘육신전’ 초안을 사관(史館)과 ‘승정원일기’에 의거 교정하여 집안 깊숙이 넣어두었다.
그런데 세상이 흐림에도 갓끈을 씻으려 한 대가는 혹독했다. 김일손은 1498년 7월 27일에 능지처사 당하는 비극적 최후를 맞았다.
한편 김일손은 1506년(중종 1년)에 관직을 회복하고, 1660년에는 도승지를 증직(贈職)받았다. 1834년에는 문민(文愍 학문과 견문이 넓고 깊어 문이라 하고, 백성들로 하여금 슬프고 마음 상하게 하여 민이라 한다.) 시호를 받았다.
그러면 김일손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자. 남효온은 ‘김일손은 세상에 보기드문 자질을 타고났으며, 종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그릇’이라고 추켜세웠다. 칼 찬 선비 조식도 “살아서는 서리를 업신여길 절개가 있었고, 죽어서는 하늘에 통하는 원통함이 있었다.”라고 했다.
우암 송시열은 1668년에 지은 『탁영선생문집』 서(序)에서 이렇게 적었다.
“탁영선생은 문장과 절행으로서 한 시대의 으뜸이었던 분인데 불행하게도 연산군을 만나 동시(東市)에서 처형당하는 화를 입었고, 그 화는 온 사림(士林)에 미치었다. 지금도 당시의 일을 말할 때면 기가 막히고 목이 메지 않는 사람이 없다. (...) 중국 사람들까지도 칭찬하여 말하길 ‘동국(東國)의 한유’라 하였다. (후략)”
사관 김일손을 기리면서 역사를 생각한다.
“역사를 기억하지 못하면 내일이 없고, 올바른 기록이 없으면 시대의 아픔을 극복할 수 없다.”
'김일손의 후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회 무오사화 – 창덕궁 희정당에서 (0) | 2022.12.02 |
---|---|
길 위의 역사 3부 - 생육신 순례 (22) (0) | 2022.09.27 |
순례자의 노래 (51)- 김시습, 동봉육가를 읊다.(2) (0) | 2022.06.08 |
순례자의 노래 (50)- 김시습, 동봉육가를 읊다. (0) | 2022.06.07 |
순례자의 노래 (49)- 김시습, 방랑을 계속하다. (0) | 2022.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