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큰 세상(正論直筆)위해 구독 YOU ME 클릭 ]
| | 1809년과 1810년 두 해에 걸쳐 전라도 지역에 극심한 흉년이 계속되었다. 유랑민들이 길을 메웠고 버려진 아이들이 길거리에 넘쳤다. 전염병마저 창궐하여 시신(屍身)들이 언덕을 메웠다.
이러함에도 탐관오리들은 사태를 수습할 생각은 전혀 안 하고, 수탈만 일삼았다. 다산은 분개하였다. 그리하여 탐학만 일삼는 아전을 고발하는 <용산리(龍山吏)> · <파지리(波池吏)> · <해남리(海南吏)>, 소위 3리(三吏) 시를 지었다. <용산리>는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 712∼770)의 <석호리(石壕吏)>, <파지리>는 <신안리(新安吏)>, <해남리>는 <동관리(潼關吏)> 시를 차운하였다. 그러면 3리(三吏) 시를 살펴보자. 먼저 <용산리>이다. 1810년 6월에 지은 이 시는 용산촌에 들이닥친 아전의 횡포를 고발한 시이다. 강진군 도암면 용흥리 용산마을이란 지명이 있는데 이곳이 용산촌인 것 같다.
다산은 두보의 <석호리> 시의 운을 차운하여 <용산리>시를 지었다. 두보는 안녹산의 난이 한창인 759년에 낙양에서 돌아오면서 석호촌(石壕吏)에 하룻밤 묵었는데, 하양의 역사(役事)를 위하여 징발에 끌려가는 할머니를 목격하고 시를 지었다. 그러면 <석호리> 시부터 감상하자. 시는 5언 4구, 6수이다.
석호 마을에서
해질녘 석호촌에 투숙했는데 暮投石壕村 한 밤중에 사람 잡는 관리들 有吏夜捉人 영감은 담장 넘어 도망치고 老翁踰墻走 할멈 있어 대문 열고 내다보는데 老婦出門看 관리는 어째서 화내는고? 吏呼一何怒 할멈은 또 얼마나 섦게 우는가 婦啼一何苦 할멈이 앞에 나가 사정하는 말 들으니. 聽婦前致詞 “세 아들이 업성에서 수자리 사는데 三男鄴城戌
한 아들이 편지 부쳐왔네 一男附書至 두 아들이 새 전투에서 전사했다고. 二男新戰死 산 사람이야 모진 삶 살겠지만 存者且偸生 죽은 자는 다시 못 돌아오네. 死者長已矣 집안엔 사나이는 하나도 없고 室中更無人 오직 젖먹이 손주만 있어 惟有乳下孫 손주의 어미는 아직 남아있지만 孫有母未去 멀쩡한 나들이 옷 조차 없습죠. 出入無完裙
이 늙은이 기력은 떨어졌지만 老嫗力雖衰 이 밤에 나으리를 따라가 請從吏夜歸 급히 하양의 부역에 응하면 急應河陽役 아침밥은 지을 수 있을 것이외다” 猶得備晨炊 밤이 깊자 말소리가 끊어졌는데 夜久語聲絶 흐느껴 우는 소리 잠결에 들은 듯. 如聞泣幽咽 날이 밝아 내가 길 떠날 때에는 天明登前途 늙은 영감 혼자와만 작별하네. 獨與老翁別
다산은 두보의 시를 차운하여 <용산리>시 6수를 지었다. 차운은 각 수의 1, 2구 마지막 글자이다. 따라서 1수의 차운은 촌과 인이고, 2수는 노, 고이다.
용산리(龍山吏) 두보(杜甫) 운에 차운함. 경오년(1810) 6월
아전들이 용산촌에 들이닥쳐서 吏打龍山村 소 뒤져 관리에게 넘겨주는데 搜牛付官人 그 소 몰고 멀리멀리 사라지는 걸 驅牛遠遠去 집집마다 문에 기대어 보고만 있네. 家家倚門看
사또님 노여움만 막으려 하니 勉塞官長怒 그 누가 백성 고통 알아줄 건가. 誰知細民苦 유월에 쌀 찾아 바치라 하니 六月索稻米 모질고 고달프기 수자리(국경을 지키는 일)보다 더하네. 毒痡甚征戍
좋은 소식은 끝내 오지 않고 德音竟不至 만 목숨 서로 포개고 죽을 판이네 萬命相枕死 제일 불쌍한 건 가난한 백성이라 窮生儘可哀 죽는 자가 오히려 팔자 편하네 死者寧哿矣
남편 없는 과부와 婦寡無良人 손자 없는 늙은이들 翁老無兒孫 빼앗긴 소 바라보며 엉엉 우는데 泫然望牛泣 눈물 떨어져 베적삼을 다 적시네 淚落沾衣裙
촌마을 모양새가 이렇게 피폐한데 村色劇疲衰 아전 놈 왜 가지 않고 앉아있을까 吏坐胡不歸 쌀독은 바닥난 지 이미 오랜데 甁甖久已罄 무슨 수로 저녁밥 짓는단 말인가 何能有夕炊
죽치고 앉아 남 못살게 구니 坐令生理絶 온 동네 사람들 목메어우네. 四隣同嗚咽 소 잡아 포를 떠서 세도가에 바치면 脯牛歸朱門 재주꾼 솜씨가 이로써 드러나네. 才諝以甄別
흉년에 먹을 것도 없는 마을에 들이닥쳐 세금안 낸다고 소마저 가져 가는 아전. 죽치고 앉아 밥 얻어먹고 가려는 아전. 이런 승냥이의 횡포에 분노가 치민다.
 사진 다산초당 (강진군 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