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고록준비

조부 김봉민의 한시 4수

5. 南原 廣寒樓詩

 

冠世湖南第一樓 세상에 으뜸이요 호남 제일의

                     누각이니

珠簾玉楣蓼川皐 주렴과 주옥같은 제영이

                     요천 언덕바지에 있네..

有情公子蒼頭使  다정한 귀공자는

                      노복을 시켜서

厲氣佳人韆索收 그네 타는 너무 요염한

                      미인을 찾았네.

送別天涯織女淚   아득히 멀리 떠나보내는

                      직녀의 눈물인양

間香窓外黃梅秋   창가의 황매 익을 때

                       5월의 향기 스치네.

漢陽此去幾千里  이제 한양으로

                      몇 천리 길 떠나시면

不見長安與我愁   장안에서 만나지 못하고

                      나로 하여금 근심케 하리.

주 요천(蓼川): 남원에서 장수 쪽으로 흐르는 섬진강 상류의 강이름.


6. 登求禮郡龍頭龍湖亭吟(구례용두에 있는 용호정에 올라 읊으다)


 行吟異山月 거니면서 기이한 산과 달을 노래 하다가

 偶到湖上亭 우연히 용호정 위에 올랐네.

 看板心裡樂 현판의 글씨 보니 마음속의 즐거움이요

 五峰望中靑 오봉산 바라보니 짙푸르구나.

 灣淨龍臥水 맑은 물 굽이굽이 용눈이 일고

 年高叟疑星 나이 많은 노인네 머리 희끗하네.

 送君一杯酒 그대를 한잔 술로 고이 보내지만

 但惜歸後醒 다만 돌아 간 후 술 깨버릴까 아쉽다.


주 용호정 :황매천의 제자를 중심으로 72가에서 모금하여 고각루를 매입하여 시회 모임장소로 개축한 정자임.

 

 

 

7. 天官寺詩(천관사에 대하여 읊음)

星臨背上應天緣  별빛 등에 지고 응당

                      천생연분 찾았고

百戰場中伺敵隣  여러 번 싸움터에서

                      이웃 적을 살폈다.

警別還愧馬識路 이별을 굳게 하였지만 말이 옛

                     길 따르니 도리어 부끄럽고,

憐淚惟感蒼頭鞭 가엾이 흐르는 낭자의 눈물에

                     노복에게 매질만 하였네.

孤墳夜雨靈瘼濕 외로운 무덤에 밤비내려

                     눈가를 촉촉이 적시고

白馬江聲寶劍閑 백마가 강가에 울자

                     보검으로 맊았네.

古寺從令何處在 옛 절 찾으려 해도

                     어느 곳에 있는지

千年遺恨兩人間 천년토록 남긴 한은

                     두 사람 사이 일일세.

김유신과 천관사(天官寺):김유신장군이 자기가 좋아하던 천관사(天官寺)에 사는 기생에게 가지 않으려고 말 등에 앉아서 조는 틈에 그곳을 찾아간 준마의 목을 베었다고 함.

 

 

 

 

 

8. 故鄕思 고향을 그리워 하다


白首當年上此城 흰머리 노인 되어

                     이 성에 오르니

獨吟獨步興難成 홀로 읊조리며 거닐어도

                     흥이 나지 않구려.

棋局爛架何世在 바둑판은 시렁에

                     언제부터 올려 두고

琴書沽酒一時醒 거문고 서책 즐겨 사온 술

                     한 때나마 깨었지.

望裏故消鄕息稀 고향산천 바라보아도

                     소식은 오지 않고,

雲山疊疊夢難恥 첩첩한 산중 구름 저 너머

                    꿈엔들 찾기 어려워라.

獨坐草堂心寂寂 홀로 초당에 앉아

                     마음은 쓸쓸하니,

更逢何日孫兒歸 어느 날에 아들 손자

                     다시 만날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