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산군(燕山君), 휘(諱)1) 융(㦕)은 성종 강정 대왕(成宗康靖大王)2) 의 맏아들이며, 어머니 폐비(廢妃) 윤씨(尹氏),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윤기견(尹起畎)의 딸이 성화(成化) 병신년4) 11월 7일(정미)에 낳았다. 계묘년5) 2월 6일(기사)에 세자(世子)로 책봉(冊封)하고,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한명회(韓明澮) 등을 북경(北京)에 보내어 고명(誥命)을 청하니, 5월 6일(정유)에 황제가 태감(太監)6) 정동(鄭同) 등을 보내어 칙봉(勅封)을 내렸다. 소시(少時)에, 학문을 좋아하지 않아서 동궁(東宮)에 딸린 벼슬아치로서 공부하기를 권계(勸戒)하는 이가 있으매, 매우 못마땅하게 여겼다. 즉위하여서는, 궁안에서의 행실이 흔히 좋지 못했으나, 외정(外庭)에서는 오히려 몰랐다. 만년(晩年)에는, 주색에 빠지고 도리에 어긋나며, 포학한 정치를 극도로 하여, 대신(大臣)·대간(臺諫)·시종(侍從)을 거의 다 주살(誅殺)하되 불로 지지고 가슴을 쪼개고 마디마디 끊고 백골을 부수어 바람에 날리는 형벌까지도 있었다. 드디어 폐위하고 교동(喬桐)7) 에 옮기고 연산군으로 봉하였는데, 두어 달 살다가 병으로 죽으니, 나이 31세이며, 재위 12년이었다.
【태백산사고본】 1책 1권 1장 A면
【영인본】 12 책 623 면
【분류】 *왕실-국왕(國王)
[註 2]성종 강정 대왕(成宗康靖大王) : 조선조 제9대 임금. 성종은 그 묘호(廟號), 곧 사당의 칭호. 강정은 그 시호(諡號), 곧 생전의 공덕을 기린 칭호인데, 이 시호는 명나라에서 준 것이다. 대왕은 죽은 왕을 일컫는 칭호이며, 왕의 미망인을 대비(大妃)라 하고, 죽은 왕비를 왕후(王后)라 일컫는 것과 같다. ☞ |
'김일손의 후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종 임금의 죽음에 관한 실록과 연려실 기술의 차이, 김세곤 정리 (0) | 2014.10.04 |
---|---|
무오사화 전후 역사 정리... 김일손 관련,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0) | 2014.10.04 |
탁영 김일손 답사 - 서울 지역, 후손 김세곤 (0) | 2014.09.28 |
단종의 자규시 2수. 영월 관풍헌의 자규루(매죽루), 김세곤 답사 (0) | 2014.09.26 |
김일손을 중국의 한유에 비교하니... 한유는 누구인가? 후손 김세곤 글 (0) | 201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