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기행

연변 기행 : 용정 이야기 (1)

 

 

 

 

중국 연변 기행: 용정 龍井 이야기


           


               김세곤(노동부 부이사관, 통일교육원 연수중)



  중국 연변 기행을 한다. 연변 조선족 자치주 용정 龍井을 간다. 우리 민족의 수난과 아픔이 배어 있는 역사의 현장을 간다.  용정은 <선구자> 노래의 고향이요,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에서 조준구에게 평사리 땅을 빼앗긴 최참판댁  서희 아씨가 이주한  곳이며, <별 헤는 밤>의 시인 윤동주가 태어난 곳이다.


2007. 5. 31 통일교육원의  통일미래지도자과정 교육생 35명은 오전에  북중접경지역인 두만강을 구경하고 오후에는 용정을 답사한다. 맨 먼저 가는 곳은 일송정이다.  우리 일행은 버스 안에서 <선구자> 노래를 합창하였다.



일송정 푸른 솔은  늙어 늙어  갔어도

 한 줄기 해란강은 천년 두고 흐른다.

 지난 날 강가에서 말 달리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


 

이 노래를 부르면 가슴이 뭉클해진다. 마음이 숙연하여 진다. 조국을 위하여 한 목숨 바친 항일 애국투사들이 생각나고 조국이 무엇인지 민족이 무엇인지를 되 집어 보게 된다. 그리고 사나이로서 큰 뜻을 품고 조국을 위하여  무엇인가를 하리라는 다짐을 하게 된다.



일송정   一松亭



  이윽고 버스는  용정시내를 지나 비암산 입구에 도착한다.  날씨가 무척이나 화창하다. 나는  땀을 흘리면서 산 정상에 있는 일송정을 향하여 20여 분 간 올라갔다.


  일송정 一松亭.  거기에는 8각정 정자가 있고  어린 소나무도 한 그루 있다. 이곳에서 보니 사방이 확 트여 있다. 용정 시내가 보이고, 해란강이 흐르고 있다. 해란강은 생각보다 강폭이 좁다. 시골의 냇가 수준이다. 우리 일행은 기념사진을 찍고서 선구자 노래도 합창하였다. 정자를 자세히 살펴보다가 나는 옆에 적힌 복원기를 보았다. 

 

복원기에는 ‘일송정은 원래 정자 모양의 한 그루 나무로서 용정8경의 하나였다. 이 소나무는 일제에 의하여 1938년에 죽었다고 전해온다. 용정시 인민 정부는 한국 독지가들의 후원으로 1991년 3월에 소나무를 다시 심고 그 해 9월에 정자를 세웠다.’ 라고 적혀 있다. (그런데 그 소나무는  다시 죽었고 지금의 소나무는 2003년에 심은 것이란다.)


지금까지 나는 일송정 一松亭을 정자로 알았는데 이제 보니 소나무 이름이다. 일송정 소나무는 항일 독립운동의 상징이었다. 비암산 소나무는 홀로 늙어 갔지만 그 푸르름은 비탄에 젖은 우리 민족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고 조국을 떠나온 간도 사람들에게 큰 힘이 되었다. 그리고 간도 사람들은 일송정 밑에서 항일 독립운동 모의도 하였다.  여기에서 보니 사방이 툭 트여 있고 전망이 좋아 일본군이 쳐들어오는 것을 빨리 알 수 있는 지형이다. 

  

나는 다시 한 번 비감에 젖는다. 나라를 다시 찾겠다고 맹세한 선열들의 애국심에 숙연하여 진다. 이런 생각들을 하고 있을 즈음에  정자 밑에서 술을 마시고 있는 젊은이들을 보았다. 물어보니 현지 조선족 청년들이었다. 이런 슬픈 역사의 현장에서 술을 마시다니. 마음이 다소 씁쓸하다.  한편으로는  중국인 연변 조선족이 일송정에 얽힌 역사를 알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당초부터 무리라는 생각이 든다.  



일송정에서 건너편을 바라보니 큰 바위가 하나 보인다. 일송정이라고  적힌 바위이다. 일송정 바위 아래 계단 벽면 한쪽에는  선구자 노래 가사가 3절까지 적혀져 있고, 다른 한쪽 벽면에는 선구자 노래의 유래가 씌어져  있다. 


<선구자> 노래. 1933년에 만들어진 이 노래의 원래 제목은 <용정의 노래>이다. 윤해영 작사, 조두남 작곡인데 용정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노래 가사에는 일송정, 해란강, 용두레 우물가, 용문교, 비암산, 용주사등 용정의 지명들이 나온다. 이 노래가 만들어진 1930년대 초반은 항일독립운동 하기가 매우 힘든 때였다.   1931년에 만주사변이 일어난 후에 일제의  중국 침탈은 더욱 본격화 되어  일본의 압제는 극에 달하였고 독립운동가들은  지하로 잠복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암울하고 힘든 시기에 조선인들에게는 광복의 힘을 북돋아주는 노래가 필요하였다. 말 달리고, 활을 쏘고, 조국을 찾겠노라는 맹세를 하는 선구자가 그리웠다.  만주에서의 독립운동가들은  고구려의 주몽, 발해의 대조영 같은 그런 민족의 영웅, 그런 선구자를 그리며  <용정의 노래>를 불렀을 것이다. 이렇게 선구자를 갈망하면서 노래를 부르다 보니  노래 제목도 <선구자>가 된 것이리라.   노래의 유래가 적힌 일송정 벽면을 사진에 담으면서 그 내용을  하나하나 소리 내어 읽었다. 또한  <선구자> 노래 가사도 3절까지 노트에 적었다.  

 

  비암산을 내려오는 도중에 일송정으로 올라가는 초등학생들을 만났다. 인천에서 왔다는 이들은 역사 유적 답사를 왔다 한다. 학생들이 똑같이 입은  티셔츠에는 ‘평화를 위하여’ 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 이들을 보니 마음이 흐뭇해진다. 어린 초등학생들이 우리나라 역사 현장 체험을 하고 있다니 우리나라는 정말 희망이 있다.


용두레 우물가로 향하는 버스 안에서 우리 일행은 다시 선구자 노래를 1절부터 3절까지 불렀다.  왜 그런지 자꾸만 눈시울이 뜨거워진다.



  

  선구자 노래 2절


  용두레 우물가에  밤새 소리 들릴 때

  뜻 깊은 용문교에 달빛 고이 비친다.

  이역 하늘  바라보며 활을 쏘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

 



    3절

 

  용주사 저녁 종이 비암산에  울릴 때

  사나이 굳은 마음  깊이 새겨 두었네.

  조국을 찾겠노라 맹세하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