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곤 칼럼> 해방정국 3년 톺아보기 (1) 8.15 해방
<김세곤 칼럼> 해방정국 3년 톺아보기 (1) 8.15 해방
김세곤 (역사칼럼니스트, ‘대한제국 망국사’ 저자 )
- 연재를 시작하면서
1945년 8월 15일에 조선이 해방되었다. 3년 후인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고, 9월 9일에는 북한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였다. 남북은 분단되었다. 해방정국 3년(1945-1948)을 30회 연재 예정으로 자세히 살펴본다. -
1945년 8월 15일 정오에 히로히토 일본 천황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연합군에 무조건 항복 선언했다.
7월 16일에 미국은 뉴멕시코 사막에서 인류 최초로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했다. 그런데 일본은 1945년 5월 독일의 항복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태평양 전쟁을 이어갔다. 7월 26일에 미국의 투르먼, 영국의 처칠, 중국의 장개석은 포츠담 선언을 통해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은 이를 묵살했다.
1945년 8월 6일 오전 8시 15분 미군 B-29 폭격기 에놀라 게이가 히로시마에 나타나 세계 최초로 원자폭탄을 투하했다. ‘꼬마(리틀보이)’라는 별명의 원자폭탄은 1,500미터 상공에서 섬광을 발하고 낙하해 580미터 상공에서 폭발했다. 시가지는 파괴되었고 20만 명의 시민이 목숨을 잃었다.
8월 8일에 소련이 재빨리 일본에 선전포고하고 9일 새벽에 만주로 전격 진격했다. 소련은 1945년 2월 얄타회담에서 미국의 요청에 의해 일본과의 전쟁에 참전할 것을 약속했지만 계속 미루었다. 그런데 미국이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자 승리를 확신한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하고 극동 장악에 나선 것이다.
8월 9일에 미군은 나가사키에 ‘뚱보(팻맨)’라는 이름의 원자폭탄을 떨어뜨렸다. 이날 원폭으로 7만여 명이 사망했다. 한편 일본은 도쿄에도 원폭이 떨어질 것이라는 소문으로 공포에 휩싸였다.
8월 9일 한밤중, 도쿄의 작은 방공호 안에서 천황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최고위급 회의가 열렸다. 스즈키 수상은 내각 간사장에게 포츠담
선언을 낭독하도록 지시한 후, 토고 외상에게 의견을 물었다. 토고는 지체 없이 선언을 수락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군부는 엄청난 재앙에도 불구하고 전쟁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11명의 참석자들이 각자 의견을 개진했다.
다음날인 10일 새벽 2시, 히로히토 천황이 조용히 입을 열었다.
“모두가 최선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전쟁을 수행할 수 없고, 모든 해안을 방어할 수 있는 능력도 의심스럽소. 연합군의 선언을 수락하자는 제안을 재가하오.”
8월 10일에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할 뜻을 밝혀오자, 미국 정부의 실무진은 일본군의 항복과 무장해제를 위하여 한반도의 군사분계선을 38도 선으로 하였다. 38선을 확정한 것은 미국 국무부, 육군부, 해군부 기관원의 협의체인 3부 조정위원회(SWNCC)였다. 소련군이 만주 공세작전을 개시한 후, 3부 조정위원회((SWNCC) 위원장인 국무 차관보 제임스 던은 8월 11일에 육군부 작전국에 소련군의 남진에 대응하여 미국이 서울과 인천을 점령하도록 하는 군사분계선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미국 육군부 작전국의 본스틸(Bonesteel) 대령과 미 육군장관 보좌관이었던 딘 러스크(Dean Rusk) 중령은 작전국에 걸려 있던 내셔널 지오그래픽사의 벽걸이 지도에 38선을 그어본 후 38선 분할 점령안을 미국 합참과 3부 조정위원회에 보고했고, 이 안이 트루먼 대통령에게 보고되어 승인을 받은 후, '일반 명령 제1호'로 맥아더 사령관에게 전달되었다.
일본군 항복안은 만주와 30도선 이북의 조선, 사할린과 쿠릴 열도에 있는 일본군은 소련 극동최고사령관에게 항복하고, 38도선 이남의 조선과 류큐 열도 및 필리핀에 있는 일본군은 미국 태평양육군 최고사령관에게 항복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한편 8월 15일 정오, 이른바 ‘옥음방송’이라 하는 히로히토 천황의 녹음된 목소리가 방송을 타고 흘렀다. 옥음 방송은 중계기를 통해 방송되는 방식이라 라디오 음성은 그다지 깔끔하지 않았다. 또 내용도 알아듣기 매우 힘든 고문어체여서 처음 방송될 때엔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몰랐다고 한다. 그 후 방송국 직원이 구어체로 재차 방송하여, 국민들은 항복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날 조선은 해방되었다. 함석헌 옹의 말처럼 ‘해방은 도둑처럼’ 뜻밖에 찾아왔다. 하지만 해방의 기쁨도 잠시였다. 북한에는 소련군이, 남한에는 미군이 주둔한 것이다.
( 참고문헌 )
o 강만길, 20세기 우리역사, 창비, 1999
o 강준만 저, 한국현대사 산책 1940년대 1권, 인물과 사상사, 2004
o 김동춘 저, 대한민국은 왜? 1945-2005, 사계절, 2015
o 서중석 지음,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