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례자의 노래 (1)- 김시습 · 남효온 · 김일손의 중흥사 회합
순례자의 노래 (1)
- 김시습 · 남효온 · 김일손의 중흥사 회합
김세곤 (역사칼럼니스트)
1490년 가을,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이 삼각산(지금의 북한산) 중흥사에 나타났다. 1483년에 수락산에서 서울을 떠난 지 7년 만이었다.
중흥사는 김시습이 과거 시험 공부를 하다가 1455년 윤 6월에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공부하던 책을 모두 불사르고 떠났던 곳이다.
이율곡이 1582년에 선조의 명을 받아 지은 ‘김시습전(金時習傳)’의 관련 부분을 읽어보자.
“김시습의 자는 열경(悅卿)이요, 본관은 강릉이다. (...) 김시습은 나면서부터 성품이 남달리 특이하여 생후 8개월 만에 혼자서 글을 알았다. 최치운이 보고서 기이하게 여겨 ‘시습(時習)’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 경태(景泰 명나라 태종 연호) 연간에 영릉(英陵 세종)과 현릉(顯陵 문종)께서 차례로 붕어하시고 노산군(魯山君 단종)이 3년만(1555년 윤 6월 11일)에 양위하게 되었는데 이때 시습의 나이 21세였다.
삼각산에서 글을 읽다가 서울에서 온 사람으로부터 단종의 양위 소식을 듣고 즉시 문을 닫아걸고 3일 동안 바깥출입을 하지 않다가 방성통곡한 다음에 읽고 쓰던 책을 모조리 불살라 버렸고, 광기(狂氣)를 일으켜 똥통에 빠졌다가 도망하여 불문(佛門)에 의탁(依託)하고 승명(僧名)을 설잠(雪岑)이라 하였다. 그의 호는 여러 번 바뀌었으니 청한자(淸寒子)ㆍ동봉(東峰)ㆍ벽산청은(碧山淸隱)ㆍ췌세옹(贅世翁)ㆍ매월당(梅月堂)이라 하였다.”
(율곡전서 제14권 / 잡저)
세조의 왕위찬탈은 유학 사상의 핵심인 왕도정치의 붕괴였다. 주공이 되겠노라고 한 수양대군의 언행은 거짓이었다.
이때 추강 남효온(1454∽1492)이 술을 가지고 탁영 김일손(1464∽1498)과 함께 찾아왔다. 남효온과 김일손은 김시습과 구면이었다. 김시습이 삼각산에서 지낼 때 자주 만났다.
중흥사에서 세 사람은 5일간 같이 지냈다. 당시의 정황이 김일손의 조카 김대유가 편집한 『탁영선생연보(濯纓先生年譜)』에 나온다.
“세 사람은 밤새 담소하고 함께 백운대에 등정하고 도봉에 이르렀는데 무려 닷새 동안을 같이 보내고 헤어졌다. 그때의 담론이 모두 없어져서 전하지 않는데 혹시 기휘(忌諱)하는 바가 있어 그러한 것인지 알 수 없다.”(성종 21년 9월 경신)
세 사람이 나눈 대화 내용은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이들은 단종애사(端宗哀史)에 대하여 이야기 했을 것이다. 세 사람은 단종과 사육신 그리고 소릉(단종 모친 권씨의 능)등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었을 것이다.
서울 노량진에 사육신묘가 있는 것은 김시습 때문이다. 1456년 6월 8일에 군기감 (지금의 서울시청 동쪽) 앞에서 성삼문·유응부·이개·하위지 등이 두 대의 수레로 사지가 찢기는 장면을 지켜보았다. 이미 옥중에서 죽은 박팽년과 집에서 자결한 유성원의 시신이 거열 당한 것도 보았다.
그런데 아무도 이들의 시신을 수습에 나서지 않았다. 이때 김시습이 나섰다. ‘연려실기술’에 따르면 김시습은 성삼문·박팽년·유응부·성승 등 다섯 시신(한 사람은 미상이다. 일설엔 이개라고도 한다.)을 수습해 노량진에 묻고 작은 돌로 묘표를 대신했다고 한다.
사육신이 충절의 아이콘이 된 것은 남효온이 지은 ‘육신전(六臣傳)’에 기인한다. 1478년 4월 성균관 유생 시절에 소릉 복위 상소를 남효온은 1489년에 고향 의령에서 『육신전(六臣傳)』을 지었다. 그는 병마로 몸도 가누기 힘든 상태였으나, “내가 죽는 것이 두려워 충신의 이름을 없어지게 할 수 있으랴” 하고 붓을 들어 박팽년·성삼문·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의 충절을 기리는 ‘육신전’을 집필했다.
1490년 4월에 김일손이 교정을 보았다. ‘탁영선생 연보’에 나온다.
“1490년 4월에 남효온이 지은 ‘육신전’ 초안을 사관(史館)과 ‘승정원일기’에 의거 해 다시 고쳐 짓고 집안에 깊숙이 갈마두다”
1490년 3월에 승정원 주서 및 예문관 검열에 제수된 김일손은 경연에 입시하여 ‘노산군(단종)의 후사’를 세울 것을 주청하였고, 사관에 입직하여 사초를 닦으면서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수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