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일전쟁의 배경 (1)
러일전쟁의 배경 (1)
김세곤 (역사 칼럼니스트)
러일전쟁은 일본이 한국의 진해만을 점령하면서 시작되었다. 1904년 2월 4일 일본은 어전회의에서 러시아와 전쟁을 결정했고, 6일에 러시아와 국교를 단절했다. 메이지 천황은 육·해군에 출동 명령을 내렸다. 6일 아침에 나가사키 근처의 사세보 군항에서 연합함대의 제1전함대와 제2전함대가 중국 뤼순으로 출발했다.
제3전함대와 제7전함대는 2월6일 아침에 대마도의 다케시키 항을 출발하여 저녁 무렵에 진해만을 점령했다. 이어서 육전대가 상륙하여 마산의 전신국을 점령했다. 이것이 일본의 대한제국 첫 침략이었다.
(와다 하루키 저 · 이경희 역, 러일전쟁과 대한제국, 2011, p 59-60)
러일전쟁의 배경은 1904년 2월 23일 자 ‘고종실록’에 잘 설명되어 있다.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가 체결되었다. 【광무(光武) 4년(1900년) 북청사변(北靑事變 의화단 사건 -필자 주)후 러시아는 만주 일대에 군사를 체류시킨 채 기한이 되도록 철수하지 않았다. 비록 일본·영국 양국이 동맹(1902년 1월 30일 제1차 영일동맹- 필자 주)으로 그에 대응하고 미국도 항의하였으나 러시아는 응하지 않다가 7년(1903년) 4월에 이르러 군사를 출동시켜 멋대로 우리나라 용암포(龍巖浦)를 차지하였다.
일본은 반도(半島)의 존망이 그 안위(安危)와 관계된다고 여겨 몇 달을 절충하였으나 해결이 나지 않았다. 러시아가 도리어 군사 장비를 증수(增修)하자, 올해 2월 6일에 이르러서는 두 나라 사이의 국교가 단절되었다. 9일 일본 함대가 러시아함을 공격하여 인천에서 2척을 격파하자 러시아함은 퇴각하다가 인천항에서 자폭 침몰하였다. 10일 일본이 러시아에 선전포고를 하였다. 12일 러시아 공사 파블로프가 서울을 떠나 귀국하였다. 이에 이르러 국면은 일변하였고 본 조약이 체결되었다.】
〈의정서(議定書)〉 (후략)”
1898년 무술변법이 실패한 다음 해인 1899년에 의화단이 중국인 기독교신자들이 거주하는 평원현을 습격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의화단은 산동 지방에서 원나라 때부터 맥을 이어오던 백련교(白蓮敎) 계통의 비밀결사였다. 이들은 스스로 하늘에서 내려온 신병(神兵)이라 칭하여 권법(拳法)과 봉술(棒術)을 익히고 주문을 외우면 비록 총탄이라도 피할 수 있다고 공언하였다.
의화단은 ‘부청멸양(扶淸滅洋 청을 도와 서양을 멸한다)’을 기치로 기독교도를 살해하고 교회를 파괴했다. 외국인에 대하여도 테러를 가하는등 배외(排外) 운동을 전개했다.
1900년 6월에 20만 명의 의화단이 북경에 들어왔다. 6월 20일에 의화단은 독일 공사 케텔러를 살해하고 제국주의 열강의 공사관을 포위·공격했다. 6월 21일에 청나라는 열강에 정식으로 선전포고하였다. 서태후는 “청국은 약해질 대로 약해졌다. 믿을 것은 민심뿐이다.”라고 말했다.
의화단의 공사관 봉쇄는 55일간이나 계속되었다. 열강들은 영국 공사 맥도널드의 지휘하에 잘 버티었다. 이 사건은 <북경의 55일(1963년)>이란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공사관이 포위되자 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 러시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일본, 이탈리아 등 8개국은 공동출병을 결의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각국의 출병은 쉽지 않았다. 영국은 40만 명의 병력을 동원한 남아프리카의 보어전쟁에 발이 묶였고, 미국은 필리핀 독립운동 진압에 매달려 있었다. 열강은 일본에 출병을 요청했다. 7월 6일 야마가타 아리토모 내각은 ‘열강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모험’이라며 출병을 결정했다.
8월 14일, 의화단의 포위 55일에 총공격에 참가한 연합군은 47,000명이었는데 일본군이 22,000명, 러시아군이 10,374명이었다. 연합군 공격 직전에 서태후는 광서제와 함께 서안(西安)으로 도망쳤고, 북경은 연합군의 약탈장으로 변하였다. 서태후가 아끼던 여름 궁전 이화원도 파괴되었다. 가장 약탈이 심했던 것은 독일군이었다. 케텔러 공사가 피살되어 화가 난 독일 황제는 청국을 야만국으로 취급하라는 훈령까지 내렸다.
영국·프랑스·러시아·이탈리아·오스트리아 등도 약탈행위를 하였다. 그런데 일본군은 절도 있게 기율을 지켰고 서구 열강은 일본군을 ‘동양의 헌병’이라고 불렀다.
1901년 9월 7일 청국 대표 이홍장과 연합국 대표 사이에 신축조약이 조인되었다. 배상금은 4억5천만 냥으로 1902년부터 1940년까지 39년에 걸쳐 갚도록 했다. 이로써 국가 재정은 파탄지경이었다. 또한 외국의 군대들이 주둔함으로써 국토는 식민지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