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강 고정주, 창평에 신학문의 요람 영학숙을 설립하다.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춘강 고정주, 창평에 신학문의 요람 영학숙을 설립하다.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슬로시티 창평’(전남 담양군 창평면)은 개화의 요람이다. 1906년 4월에 호남 최초의 신학문의 요람 영학숙(英學塾)이 설립되었다.
설립자는 춘강 고정주(春崗 高鼎柱 1863∼1933)이다.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 출신인 고정주는 임진왜란 의병장 고경명의 후손으로 1891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시독, 규장각 직각(直閣·지금의 국립중앙도서관장)을 역임하였다. 그런데 1905년 11월 18일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그는 복합 상소하여 을사늑약 무효와 을사오적 처단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 상소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고정주는 벼슬을 사직하고 고향인 창평으로 낙향하였다. 그리고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영학숙을 설립하였다. 강의실은 창평읍에서 약 5리쯤 떨어진 월동에 있는 문중의 민가를 빌렸다. (일설에는 ‘상월정’이라고도 한다)
고정주는 서울에서 이표 李瀌라는 사람을 교사로 특별 초청하였는데, 그는 영어 · 일어 등 외국어는 물론이고 수학 · 역사 · 지리 심지어 체육까지 잘 하는 만능교사였다.
개설 초기에 학생은 고정주의 둘째 아들 남강 고광준(1882-1950)과 사위인 인촌 김성수(1891-1955) 두 사람이었다. 고정주는 25세, 김성수는 16세였다. 김성수는 1903년 (나이 13세)에 그보다 5살 연상인 고광석(1886-1919)과 혼인하였다.
고정주가 영학숙을 설립한 이유는 아들과 사위의 해외유학을 위하여 외국어를 가르치기 위함이었다.
영학숙이 개설 된 지 두 달 후에 담양 출신 고하 송진우(1890-1945)가 입학하였다. 송진우의 아버지 송훈과 고정주는 친구였다. 송진우는 일찍이 한말 의병장 기삼연의 제자였는데, 황성신문에 장지연이 쓴 <시일야방성대곡> 논설을 신문에 오려가지고 주머니에 가지고 다닐 정도로 비분강개파였다. 반면에 김성수는 조용하고 학구파인 현실주의자였다.
이어서 장성출신 심천 김시중(1892-1953)과 영암의 무송 현준호(1889-1950)가 조금 늦게 입학하여 5명이 되었다. 현준호는 3천석 지주 현기봉의 아들이었다. 마지막으로 장성 출신 백천 김인수(1887-1972)도 합류하였다.
영학숙은 학생수는 적었지만 김성수 송진우등 6명은 한국 근현대사에 족적을 남긴 이들이었다. 그들은 정치계 · 언론계 · 교육계 · 금융계에서 이름을 남겼다.
그런데 영하숙은 사실상 1년을 못 넘겼다. 고하 송진우는 6개월 후에 ‘이곳은 아무래도 우물안이다.’라고 투덜거리며 다른 길을 모색하기 위해 짐을 챙겨 돌아가 버렸고, 인촌 김성수도 그 해 겨울 고향인 고창으로 돌아가서 1907년에 부안 줄포로 이사하였다.
1907년에 고정주는 영학숙을 창흥의숙으로 확대 개편하였다. 학교는 창평군의 용주관 6칸이었다. 창흥의숙은 다시 1909년 4월에 창흥학교로 개교하였고, 1911년에 창흥 공립보통학교로 개칭하여 오늘의 창평초등학교가 되었다.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 411에는 춘강 고정주 고택이 자리 잡고 있고, 창평초등학교 입구에는 창평초등학교 100주년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교정에는 창흥의숙 표석이 있고 역사관에는 창평초등학교의 역사와 춘강 고정주 흉상 · 교지 · 칙명 등이 전시되어 있다.
한편 1907년 7월에 춘강 고정주는 고정주는 호남학회(湖南學會) 회장이 되어 애국계몽운동의 선구자가 되었다. 호남학회는 1906년에 서우학회 이후 두 번째로 설립된 애국계몽단체이다. 설립목적은 호남지역의 교육진흥이었고, 재경 및 전라도 출신들 565명이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