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 동북공정
차라리 아시아를 중국이라고 하지
김세곤
2007. 6. 6. 15:57
“한국 고대사 전체가 동북공정의 목표물”
입력 : 2007.06.05 00:41
- 중국의 역사 왜곡은 처음부터 한국 고대사 전체를 염두에 두고 있었음이 드러나고 있다. 그 동안 우리에게 ‘고구려사 왜곡’으로 알려졌던 ‘동북공정(東北工程)’을 주관한 중국 사회과학원 변강사지연구중심이 백제와 신라까지도 ‘중국사의 일부’인 것으로 기술했던 사실〈본지 4일자 A1면 보도〉이 확인된 것이다. 역사 왜곡이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 등 ‘현재의 중국 영토에 존재했던 국가들’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물론, 아예 한국사 전체를 중국사의 일부로 강변할 수 있는 논리라는 점에서 커다란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백제·신라 기미통치?… 처음 듣는 말”
학자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반병률 동북아역사재단 제2연구실장은 “지금까지 중국이 백제·신라를 지방정권이라 언급한 적은 없다고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중국이 백제와 신라에 대해 ‘기미 통치’(주변 민족의 영토를 중국의 행정구역에 속하게 하고 다스리는 방식)를 했다는 주장에도 황당하다는 반응이었다. 김택민 고려대 교수는 “ ‘기미’는 원래 ‘굴레와 고삐’를 이르는 말로 매우 중국 중심적인 용어”라며 “백제 멸망 이후 잠시 웅진도독부를 설치한 것을 ‘기미’라고 해석한 경우는 있지만 그 전의 백제를 기미통치했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 ▲중국 랴오닝(遼寧)성 장하현 고구려 성산산성 입구에 중국 당국이 최근 세운 표지석.“ 고구려 정권은 중국 고대 소수민족의 지방정권”“고구려 민족은 중국 고대 화하(華夏) 민족(중국인) 대가정(大家庭)의 일원”이라며 동북공정의 논리를 충실히 따랐다. 중국의 주장대로라면 그‘대가정’속에 백제와 신라도 포함되는 셈이다. /연합뉴스
신형식 이화여대 명예교수는 “중국은 신라를 이웃 독립국가로 여겨 왔으며 ‘기미’는 처음 나온 얘기”라며 “조공·책봉 제도를 중앙과 지방 정권의 관계라고 무리하게 해석한다면 아시아 대부분이 중국 영토라는 논리가 된다”고 말했다.
◆고대사 아닌 국경문제 연구자의 작품
이 같은 주장이 담긴 ‘고대 중국 고구려역사 총론(叢論)’(헤이룽장 교육출판사 刊)은 변강사지연구중심이 2002년 2월 본격적으로 동북공정을 시작하기 직전에 낸 책이다. 국경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1983년 설립된 변강사지연구중심은 1996년 고구려 문제를 ‘중점항목’으로 채택한 뒤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책을 냈다. 참여 학자들인 마다정(馬大正)·양바오룽(楊保隆)·리다룽(李大龍) 등은 원래 국경문제 전문가들로 이 책이 나오기 전까지 고구려 관련 논문을 거의 쓴 적이 없었다. 서길수 서경대 교수는 “학술적 목적이 아닌 정치적 목적에 의해 동북공정을 시작하기 전 미리 ‘결론’을 내린 연구의 지침서로, 앞으로 중국측 연구 활동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 책은 ?고구려는 중화민족의 한 갈래로 중국의 지방정권이었으며 ?고조선 역시 중국의 변방 정권이었다는 동북공정의 기본 논리를 모두 담고 있다.
◆“동북공정은 여전히 현재진행형”
5개년 계획으로 진행된 ‘동북공정’은 일단 공식적으로는 지난 1월 마무리된 것으로 돼 있다. 참여 연구자들이 이달 말까지 논문을 마감하면 7월 전체 회의를 거쳐 연구 성과를 종합하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종 보고서를 공개하지 않기로 방침이 정해진 가운데 각 기관별 연구는 자체적으로 진행될 예정이고, 핵심 연구자들은 지린성 사회과학원이 발행하는 ‘동북사지(東北史地)’의 필자로 자리를 옮겨 여전히 고대사 왜곡을 계속하고 있다. 때문에 ‘이제 역사 왜곡을 접는 단계가 아니냐’는 관측은 오해라는 것이 국내 전문가들의 견해다. 조법종 우석대 교수는 “ ‘총론’의 필자 중 한 명인 리다룽이 동북공정에서 ‘한(漢)·당(唐) 번속(藩屬)체제 연구’를 맡았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역사를 더 크게 왜곡하는 연구 결과물이 곧 출현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