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곤 2007. 4. 30. 18:12

 

 

 

메가트랜드 [megatrends]
요약
미국의 미래학자 존 네이스비츠의 저서 《메가트랜드》에서 유래한 용어.
본문

1982년 미국의 미래학자 존 네이스비츠(John Naisbitts)가 저술한 베스트셀러 《메가트랜드 Megatrends:The New Directions Transforming our Lives》로 생겨난 용어이다. 현대사회에서 계속 일어나고 있다고 저자가 지적하는 거대한 조류(trend)를 의미하는 것으로 탈공업화 사회, 글로벌 경제, 분권화, 네트워크형 조직 등이 그 특징이다.

네이스비츠가 규명한 미국사회의 10대 추세는 다음과 같다. ① 미국 경제는 산업사회로부터 정보사회로의 격변 과정을 겪고 있다. ② 사회가 첨단 기술사회로 진입할수록 고감도 반응(high-touch reaction)이 일어난다. ③ 미국 사회는 점차 고립과 자족에서 벗어나 범세계적 상호 의존성을 인식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동안 누려왔던 경제 초강국으로서의 지위가 흔들리기 때문이다. ④ 미국의 기업가들은 단기적 안목보다는 장기적 안목에서 생각하게 되었다. ⑤ 조직 내에서의 의사소통이 상의하달에서 하의상달 체제로, 집권적 조직보다는 분권적 조직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

⑥ 조직으로부터의 지원보다는 개개인의 자력에 의한 독립을 강조하고 있다. ⑦ 근로자와 소비자들은 정부, 기업, 시장에게 보다 큰 목소리로 요구하고 있다. ⑧ 컴퓨터가 기업의 조직도를 제압하고 있기 때문에 계층사회로부터 네트워크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 그 네트워크는 조직내의 전통적인 계층 구조를 단기간내에 자르면서 변혁시키고 있다. ⑨ 근로자들은 전통성이 강한 북부와 북동부로부터 개방적이고 자유분방한 남부, 남서부로 이동하고 있다. ⑩ 소비자들은 만능적인 것 하나 보다는 단일 기능을 여러 개 요구한다.

전체적으로 희망적인 예측이 많은데, 이러한 낙관적인 미래예측에 대해서 관리사회의 부정적인 측면이나 남북문제 등의 현실을 경시하였다는 비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