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화 평론

동북공정은 ...

김세곤 2007. 3. 27. 23:31

 

 

 

  • 동북공정은 수천년된 ‘중국확장’의 연장선”
  • 국내“ 전문가들 ‘중국의 변강 인식과 갈등’ 펴내
  • 유석재 기자
    입력 : 2007.03.27 00:16
    •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비롯한 한국 고대사를 자국사의 일부로 편입시키려는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은, 수천 년 전부터 비롯된 ‘중국(中國) 확장 프로젝트’의 연장선상에 있다.”

      동북공정의 ‘뿌리’를 심도 깊게 분석한 보기 드문 연구서가 출간됐다. 안병우(安秉佑) 한신대 교수를 필두로 이유성(중국고대사), 이성제(고구려사), 노기식(북방민족사), 윤휘탁(중국현대사) 등 13명의 연구자들이 함께 집필한 ‘중국의 변강 인식과 갈등’(한신대 출판부)이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고대부터 21세기까지 거시적인 시각으로 보면 현재의 동북공정 문제는 ‘중국’과 ‘변강(邊疆)’이라는 개념을 둘러싸고 변모하면서 팽창했던 중화주의(中華主義)의 단면이라는 것이다.

    • 2005년 2월 베이징 시민들이 오성홍기를 들고 거리를 행진하며 영토 분쟁을 빚고 있는 댜오위다오(센카쿠) 부근에서 조업을 시작하려는 일본의 조치에 항의하고 있다.
    • ‘중국’이란 원래 한족(漢族·화하족)이 자신들의 문화지역을 지칭하던 지극히 자기중심적인 개념이었다. 이에 비해 근대에 만들어 낸 개념인 ‘변강’은 중국에 정치적으로 예속됐지만 문화적으로 낙후된 주변부였다. 한족에게 있어 ‘중국’ 밖의 다른 지역은 모두 ‘이(夷·오랑캐)’였으며, 이 중 정복된 ‘변강’은 교화로써 ‘중국화’해야 할 대상이었다.

      ‘중국’과 ‘변강’의 개념은 시대마다 달라졌다. 춘추시대에는 중원지역만 ‘중국’이었고 오·월·초 등의 국가들이 ‘변강’에 해당했지만 진·한 통일제국이 출현한 이후 점차 범위가 넓어졌다. 한족을 정복한 만주족의 청(淸)나라는 강력한 내지화(內地化) 정책을 펼쳐 ‘변강’을 확장하고 ‘중국화’했다.

      이는 현 중국 정부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으로 이어졌다. 1954년 통과된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은 “각 민족 자치지방은 모두 중화인민공화국의 분리할 수 없는 부분”이라 명시했다. ‘중화민족 대가정(大家庭)’이라는 기치 아래 55개 소수민족을 통합하려는 이 이론은 ‘현재의 중국 영토에 존재했거나 존재하는 모든 민족은 중국민족이며, 그들의 역사는 모두 중국의 역사’라는 강변이었다. 명백한 독립국이었던 한국 고대사의 국가들을 이 이론에 따라 ‘중국 소수민족의 지방정권’이라며 이제 와서 과거의 ‘변강’ 개념에 포함시키려는 동북공정의 시도는 전통적 중화주의를 계승한 ‘신(新) 중화주의’인 셈이다.

      중국이 현대에 겪은 소련·인도·베트남과의 국경 분쟁과 해양에서의 영유권 분쟁, 대대적인 서부대개발 등은 ‘변강’을 확장하고 ‘중국화’하려는 작업이 끝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안병우 교수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중국’이란 개념은 아직도 만들어지는 과정 속에 있다는 점에서 살아 움직이는 실체”라며 “이민족을 ‘정복·교화’의 대상으로 삼으려는 관념 역시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