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련설 -주돈이
애련설 愛蓮說
주돈이
물과 뭍의 초목과 꽃 가운데는 사랑할 만한 것이 매우 많다.
진나라의 도연명은 유독 국화를 사랑하였고,
당나라 이래로 세상 사람들은 모란을 사랑하였으나
나는 홀로 연꽃을 사랑한다.
진흙탕에서 나와도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맑은 물 잔 물결에 씻겨도 요염하지 않으며,
속은 비었으되 밖은 쭉 곧아,
덩굴지지도 않고 가지도 없으며,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고,
우뚝 깨끗하게 서 있으니,
멀리서 바라봐도 만만하게 다룰 수 없노라.
내 이르노니,
국화는 꽃 가운데 은일자요, 菊花之隱逸者
모란은 꽃 가운데 부귀자이며, 牧丹之富貴者
연꽃은 꽃 가운데 군자라 하겠다. 蓮花之君子者
아, 국화에 대한 사랑은 도연명 이후로 듣기 어려우니,
나와 더불어 연꽃을 사랑할 사람은 누가 있을까?
모란을 사랑하는 사람은 당연히 많으리라.
******************
‘통서’ ‘태극도설’을 지은 중국 송나라의 성리학자 주돈이(1017-1073)의 연꽃 사랑 시는 연꽃을 군자에 비유하여 연꽃처럼 고귀한 선비의 삶을 살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읊고 있다.
연꽃을 통해 본 군자의 성품은 이렇다.
나는 홀로 연꽃을 사랑한다.
진흙탕에서 나와도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맑은 물 잔 물결에 씻겨도 요염하지 않으며,
속은 비었으되 밖은 쭉 곧아,
덩굴지지도 않고 가지도 없으며,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고,
우뚝 깨끗하게 서 있으니,
멀리서 바라봐도 만만하게 다룰 수 없노라.
군자는 세속에 몸담고 있으면서도 거기의 더러움에 물들지 않으며,
군자는 안으로 티 없이 맑고 깨끗하면서 꾸미지 않는 덕을 가지며.
‘속은 비었으되’는 욕심 없이 맑게 트인 군자의 마음이 사물의 이치에 통달하며, ‘밖은 쭉 곧아’는 대쪽같이 곧고 바른 군자의 언행을 비유한다.
‘덩굴지지도 않고’는 군자가 사사私事로운 것을 쫓아다니지 않는 것을
‘가지도 없으며’는 군자가 쓸데없는 일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고’는 군자의 덕망이 멀리까지 퍼지는 것을 ‘우뚝 깨끗하게 서 있으니’는 군자가 결백하게 홀로 곧은길을 가는 것을 말한다.
‘멀리서 바라봐도 만만하게 다룰 수 없노라.’는 군자의 위엄에 눌려 사람들이 감히 만만하게 볼 수 없다는 뜻이다. (고문진보에서 인용)
애련설 시구 중 국화와 모란과 연꽃에 대한 비유는 인구에 회자하는 명구 名句이다.
국화는 꽃 가운데 은일자요, 菊花之隱逸者
모란은 꽃 가운데 부귀자이며, 牧丹之富貴者
연꽃은 꽃 가운데 군자이라. 蓮花之君子者
한편 연꽃은 불교에서는 깨달음의 꽃(만다라화)이다. ‘꽃을 들자 빙그레 웃었다’ 하는 석가모니와 가섭과의 일화. 염화시중의 미소. 말을 하지 않아도 마음과 마음이 통하는 깨달음을 얻는 것.
조진호 - 연 蓮